[내일날씨] 중부지방 흐리고 눈·비…오후 곳곳 미세먼지 '나쁨'

 

겨울 재촉하는 비
겨울 재촉하는 비[연합뉴스 자료사진]

  금요일인 15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리고 눈이나 비가 내리는 가운데 남부지방은 맑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4∼7도, 낮 최고기온은 9∼17도로 각각 예보됐다.

 서울, 경기도와 동해안을 제외한 강원도, 충청북부에는 5㎜ 내외의 비가 예보됐다.

 새벽부터 아침 사이 경기 동부와 강원 영서에는 1㎝, 강원 산지에는 1∼3㎝의 눈이 내려 쌓이는 곳도 있겠다. 교통안전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미세먼지 농도는 대체로 '보통' 수준이겠다. 다만 수도권·강원 영서·충북은 늦은 오후부터 국외 미세먼지가 유입되고, 밤에 대기가 정체돼 국내에서 생성된 미세먼지가 더해져 '나쁨'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남해안은 이날까지 지구와 달이 가까워지는 천문조로 바닷물 높이가 높기 때문에 만조 때 해안가 저지대에서는 침수피해가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바다 물결은 서해 앞바다 0.5∼2.0m, 남해 앞바다 0.5∼1.5m, 동해 앞바다 0.5∼2.5m로 예보됐다. 먼바다 물결은 서해 1.0∼3.0m, 남해 0.5∼2.0m, 동해 1.0∼4.0m로 일겠다.

다음은 15일 지역별 날씨 전망. [오전, 오후] (최저∼최고기온) <오전, 오후 강수 확률>

▲ 서울 : [흐리고 비, 흐리고 한때 비] (3∼13) <70, 60>

▲ 인천 : [흐리고 비, 흐리고 한때 비] (7∼15) <70, 60>

▲ 수원 : [흐리고 비, 흐리고 한때 비] (3∼14) <70, 60>

▲ 춘천 : [흐리고 비/눈, 흐리고 한때 비] (-2∼9) <80, 60>

▲ 강릉 : [맑음, 흐림] (6∼15) <0, 30>

▲ 청주 : [맑음, 흐림] (2∼14) <10, 30>

▲ 대전 : [맑음, 흐림] (2∼15) <0, 30>

▲ 세종 : [맑음, 흐림] (-2∼15) <0, 30>

▲ 전주 : [맑음, 흐림] (3∼16) <0, 30>

▲ 광주 : [맑음, 구름 많음] (2∼17) <10, 20>

▲ 대구 : [맑음, 구름 많음] (-1∼16) <0, 20>

▲ 부산 : [맑음, 맑음] (5∼16) <0, 0>

▲ 울산 : [맑음, 맑음] (2∼16) <0, 0>

▲ 창원 : [맑음, 맑음] (2∼16) <0, 0>

▲ 제주 : [맑음, 맑음] (8∼18) <0, 0>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