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엔티파마 "반려견 치매치료제 개발…내년 신약승인 신청"

뇌졸중 신약, 중국내 임상2상 연구결과도 공개

 

 경기 용인시에 있는 신약개발업체 ㈜지엔티파마는 3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치매 신약 '크리스데살라진'과 뇌졸중 신약 'Neu2000'의 임상 연구 진행 상황을 발표했다.

 크리스데살라진은 알츠하이머 치매 원인인 뇌 신경세포 사멸, 아밀로이드 플라크 생성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활성산소와 염증을 동시에 억제하는 다중 표적 약물이다.

 Neu2000은 뇌졸중 치료를 위한 다중표적 약물로 뇌세포 손상 유발물질인 글루타메이트와 활성산소의 독성을 동시에 막아준다.

 지엔티파마가 경기도, 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등의 지원을 받아 두 신약을 개발해 임상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날 발표회에서 지엔티파마 곽병주 대표이사(연세대 생명과학부 겸임교수)는 내년 초 크리스데살라진을 반려견 치매치료제 신약으로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승인신청을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알츠하이머 치매와 유사한 반려견 치매에 대한 임상 연구에서 크리스데살라진의 약효와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안에 임상3상 연구를 완료하고 내년 초 승인을 받으면 내년 상반기 중 세계 최초의 반려견 치매 치료제 출시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끝낸 임상2상에서는 중증 치매로 진단받은 14살 이상의 반려견 6마리를 대상으로 8주간 크리스데살라진을 경구투여한 결과 모든 반려견에서 인지기능 및 활동성이 정상 수준으로 개선된 결과를 얻었다.

 반려견이 치매에 걸리면 주인식별 혼돈, 공간 인지능력 및 수면장애, 잦은 배변 실수, 식욕 변화 등 증상을 보이는데 이런 증상이 정상으로 돌아왔다는 것이 지엔티파마의 설명이다.

 크리스데살라진 3상 임상 연구에는 서울대 동물병원, 충북대 동물의료센터, 헬릭스 동물메디컬센터, VIP 동물의료센터, N동물의료센터, 해마루 동물병원, 대구 동물메디컬센터, 부산 제일2차 동물메디컬센터 등 8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지엔티파마는 뇌졸중 신약 'Neu2000'의 중국 내 임상2상 연구 결과도 공개했다.

 지엔티파마의 파트너사인 중국 헹디안 그룹의 아카펠로 제약사가 중국 내 뇌졸중 환자 238명에게 저용량에서 고용량까지 Neu2000을 투여한 결과 특이한 부작용이 발견되지 않는 등 안전성이 확인됐다.

 또 미국 국립보건원 뇌졸중 척도(NIHSS) '6 이상'의 중등도 환자에게 고용량의 Neu2000을 5일 동안 투여했을 때 뇌졸중 후 2주·1개월·3개월에 보이는 장애 증상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엔티파마는 Neu2000 임상 2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임상 3상 프로토콜을 완성해 조만간 중국 식약처에 제출한 뒤 내년 상반기 임상 3상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