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FDA,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길레니아 최초 복제약 승인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난치성 중추신경계 질환인 다발성 경화증(MS: multiple sclerosis) 치료제 길레니아(노바티스 제약회사)의 최초 바이오시밀러(복제약) 3종을 승인했다.

 다발성 경화증이란 면역체계가 뇌와 척수 등 중추신경계를 산발적으로 공격해 발생하는 일종의 자가면역질환으로 평형, 운동, 시력, 언어, 감각, 성 기능, 배뇨-배변 장애, 인지장애 등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난다. 현재 완치 방법은 없다.

 FDA는 중국 HEC 제약회사, 인도의 바이오콘(Biocon) 제약회사와 선 제약회사 등 3개 제약회사가 만든 길레니아의 바이오시밀러 3종을 승인했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7일 보도했다.

 경구약인 길레니아는 MS의 첫 단계인 재발-완화형 다발성 경화증(RRMS: Relapsing- Remitting MS) 치료제이다.

 다발성 경화증은 처음엔 증상이 악화되고 완화되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재발-완화형 다발성 경화증으로 시작돼 일정 기간 진행되다가 증상이 지속해서 악화되는 2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SPMS: Secondary Progressive MS)에 이르게 된다.

 길레니아는 면역세포가 뇌와 척수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 MS로 인한 염증을 감소시킴으로써 MS의 진행과 재발을 억제한다.

 길레니아는 금년 3/4분기에 8억2천9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일부 사직 전공의들 "9월 복귀 원해…대전협 무책임에 질렸다"
여전히 수련병원으로 돌아오지 않은 사직 전공의들 사이에서 9월 복귀를 희망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들은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집행부의 무책임을 비판하며 정원 보장, 입대·전문의 시험 일정 조정 등의 복귀를 위한 요구사항도 제시했다. 18일 의료계에 따르면 복귀를 원하는 사직 전공의 200여명은 단체 채팅방을 만들어 뜻을 모은 후 이 같은 메시지를 서울시의사회에 전달했다. 전공의들은 "최근 대전협의 기조와 달리 복귀를 희망하는 많은 전공의가 존재한다는 점을 알리고자 한다"며 "지난 5월 추가 모집에서 '정권이 교체된다면 의정 간 새로운 대화가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와 '아직 돌아갈 때가 아니'라는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의 공지 때문에 미복귀를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새 정부가 들어섰음에도 우리의 목소리를 대변해야 할 대한의사협회(의협)와 대전협은 충분한 의견 수렴 없이 사태를 방관하고 있다. 의협이 민주당과 만났다고는 하지만 구체적인 협상안을 제시하기는커녕 장·차관 인선 이후로 협상을 미루는 등 현재 상황의 시의성과 대조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대전협은 이 회의에 참석하지도 않았으며 모집에 응하지 말라는 공지 이후에는 침묵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