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범위 독감 바이러스 효과 '범용' 백신 개발…면역 4개월

광범위한 독감 바이러스에 효과가 있고 효과가 오래 지속되는 '범용'(universal) 독감 백신이 개발됐다.

 광범위한 독감 바이러스에 효과가 있고 효과가 오래 지속되는 '범용'(universal) 독감 백신이 개발됐다.

 미국 조지아 주립대학 의생명과학 연구소(Institute for Biomedical Sciences)의 왕바오중(Bao-Zhong Wang) 박사 연구팀은 독감 바이러스들이 만드는 두 가지 중요한 단백질을 혼합한 이중 나노분자 독감 백신을 개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8일 보도했다.

 이 새로운 독감 백신은 모든 종류의 독감 바이러스에서 발견되는 단백질인 M2e(matrix protein 2 ectodomain)와 표면 단백질인 뉴라미니다제(NA: neuraminidase) 등 두 가지 항원을 섞은 것으로 6종류의 독감 바이러스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쥐 실험 결과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백신이 투여된 쥐들은 6종류의 독감 바이러스에 대해 면역력을 지니는 강력한 교차 방어(cross protection) 효과가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와 함께 면역 효과도 최장 4개월 동안 지속됐다.

 M2e 단백질은 모든 종류의 독감 바이러스가 지니고 있으며 독감 바이러스의 종류마다 그 형태가 매우 유사하다.

 이 단백질은 특히 아주 장기간에 걸쳐 매우 느리게 변이(variation)를 일으킨다.

 이 백신에 사용된 또 다른 단백질 항원인 뉴라미니다제 역시 다른 단백질보다 변이 속도가 매우 느리다.

 이 백신은 속에는 M2e를 담고 뉴라미니다제로 겉을 씌운 2층(double layer) 구조를 이루고 있다.

 뉴라미니다제는 최근 독감 백신 연구에서 중요한 항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전에는 같은 표면 단백질인 헤마글루티닌(HA: hemagglutinin)이 감염력이 훨씬 강하다 하여 뉴라미니다제는 무시되거나 배제됐었다.

 그러나 헤마글루티닌은 변이 속도가 너무 빨라 매년 백신을 바꾸어야 한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연구팀은 이 나노분자 백신을 미세 침(needle)들이 깔린 패치(patch) 형태로 개발해 피부 접종이 가능하도록 만들 계획이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첨단 의료 소재'(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모기 물린 줄 알았는데"…빨라진 '말라리아' 주의보
지난 18일 전국에 '말라리아 주의보'가 발령됐습니다. 지난해보다 한 주 더 빠른 건데요. 최고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져 모기의 활동이 빨라졌기 때문입니다. 특히 6∼8월은 국내에서 말라리아 감염이 가장 많은 시기여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죠. 말라리아는 모기에게 물려 감염되는 질환 중 하나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5종류가 있는데, 국내에서는 주로 '삼일열 말라리아'에 감염됩니다. 모기에게 물린 뒤 짧게는 7일, 길게는 2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일단 감염되면 오한, 발열, 발한 증상이 48시간마다 반복되고, 열이 39도 이상으로 오르면서 심한 두통과 구토가 동반될 수 있죠. 김종희 질병관리청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장은 "초기 증상은 거의 감기와 유사해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면서 "그러나 두통이 발생할 수 있고 나중에 발열, 오한 이런 것들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면 말라리아를 의심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내 주요 말라리아 발생 지역은 서울, 인천, 경기, 강원 등입니다. 최근에는 아프리카 등 말라리아 위험 지역 방문이 늘면서 해외에서 감염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죠. 말라리아 발생 지역의 주민, 방문자 등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규칙적으로 걸으면 재발성 요통 예방기간 2배로 길어져"
허리통증을 앓은 적이 있는 성인이 규칙적으로 걷기 운동을 하면 요통이 재발하지 않는 기간이 걷지 않는 경우(112일)보다 2배 가까이(208일) 길어진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호주 매쿼리대 척추통증연구그룹 마크 행콕 교수팀은 24일 의학 저널 랜싯(Lancet)에서 요통 병력이 있는 성인 700여 명을 대상으로 6개월간 걷기운동·교육을 하고 효과를 최장 3년간 추적하는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행콕 교수는 "걷기는 지리적 위치, 나이,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계없이 누구나 저비용으로 할 수 있는 간단한 운동"이라며 "허리통증 재발 방지는 물론 심혈관 건강, 골밀도, 체중 관리 정신건강 개선 등 효과로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요통은 장애와 삶의 질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8억명이 겪고 있다며 특히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경우도 흔해 요통에서 회복된 사람 10명 중 7명은 1년 이내에 재발을 경험한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현재 요통 관리·예방법으로는 운동과 교육을 병행할 것을 권장하고 있지만 일부 형태의 운동은 높은 비용과 복잡성, 감독 필요성 때문에 많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렵거나 부담스럽다고 지적했다.

메디칼산업

더보기
"백혈병약 '보술리프', 루게릭병 진행 억제에 효과"
일본 연구팀이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를 활용해 찾아낸 루게릭병(ALS·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치료약의 임상 2상에서 효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아사히신문과 마이니치신문 등에 따르면 교토대 iPS세포연구소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보술리프'(보수티닙)를 루게릭병 환자 26명에게 투여한 결과 절반가량 환자에게서 운동기능 장애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최근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했다. 루게릭병은 근육이 서서히 위축돼 몸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게 되는 질환으로 아직 완치약이 나오지 않았다. 연구팀은 루게릭병 환자 세포를 통해 만든 iPS세포를 루게릭병 상태의 세포로 재현했고, 이를 이용해 기존 치료제 효과를 조사해 보술리프가 루게릭병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에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루게릭병 환자 9명을 대상으로 보술리프를 3개월간 투약하는 임상 1상을 진행했고, 5명은 증상이 악화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했다. 이어 2022년부터 인원을 26명으로 늘리고 투약 기간도 약 반년으로 연장해 임상 2상을 실시했다. 연구팀은 임상 2상을 통해 보술리프가 일부 환자를 대상으로 보행과 손가락 운동 기능 저하를 막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