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병력 있으면 부정맥 심방세동 위험↑"

  암 병력이 있으면 흔한 형태의 부정맥인 심방세동(a-fib: atrial fibrillation)이 나타날 위험이 크다는연구결과가 나왔다.

 심방세동은 심장의 윗부분인 심방이 이따금 매우 빠른 속도로 수축, 마치 그릇에 담긴 젤라틴처럼 가늘게 떠는 상태가 되면서 심박수가 급상승하는 현상이다. 당장 생명에 위협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일이 잦을수록 뇌경색 위험이 커진다.

 미국 세인트 메리 메디컬센터(St. Mary's Medical Center) 내과 전문의 무하마드 칸 교수 연구팀이 2012~2015년 사이에 병원을 찾은 성인 1억4천300만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18일 보도했다.

 이들 중 10%인 약 1천450만명이 심방세동 진단을 받았다.

전체적으로 암 환자는 다른 사람보다 심방세동 진단율이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암 종류별로는 전립선암이 심방세동과의 연관성이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유방암, 폐암, 대장암, 비호지킨 림프종 순이었다.

 이 결과는 고혈압, 당뇨병, 관상동맥질환(심장병), 심근병증(cardiomyopathy), 심장판막질환 등 다른 심방세동 위험요인들을 고려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사망위험은 전립선암과 심방세동이 겹친 사람이 3.28%로 심방세동이 없는 전립선암 환자의 2.31%보다 상당히 높았다.

 대장암과 심방세동이 겹친 사람은 사망률이 2.46%, 심방세동이 겹치지 않은 대장암 환자는 2.2%였다.

 암 환자에게 심방세동이 잘 발생하는 이유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다만 이 연구에서는 암 환자들이 어떤 형태의 암 치료를 받았는지는 살펴보지 않았다. 일부 항암 화학요법은 심장에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심장학회(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세계 심장학회(World Congress of Cardiology) 합동 온라인 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비대면 진료시 '위고비' 오남용 없도록" 병원에 당부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다는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자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 오남용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위고비 처방 시 충분한 진료를 통해 대상 환자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등의 내용이 담긴 공문을 대한병원협회를 통해 각 병원에발송했다. 위고비는 비만 환자의 체중 관리를 위한 보조제로,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환자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정부는 물론 의료계도 여러 차례 경고해왔다. 이러한 경고에도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살피지 않은 채 비대면 진료를 통해 위고비를 처방하는 등 오남용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복지부는 "(위고비를) 다이어트 목적으로 쉽게 처방받을 수 있다고 환자가 오인하게끔 홍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특히 비대면 진료 시 의약품 오남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위고비 처방 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사항을 준수하고, 담낭 질환이나 췌장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도 사전에 설명해달라고 요청했다. 위고비는 국내에서 BMI 30 이상인 비만 환자 또는 BMI 27 이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