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당분 섭취, 혈중 요산 축적해 수명 줄인다"

당분으로 대사 질환 생겨도, 요산 억제하면 수명 줄지 않아
MRC 런던 의과학 연구소, 저널 '세포 대사'에 논문

 당분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건강에 해롭다는 건 이제 상식으로 통한다.

 당분은 비만, 당뇨병 같은 대사 질환 위험을 높이고, 기대 수명도 몇 년 단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과도한 당분 섭취에 따른 수명 단축이 대사 시스템의 결함에서만 비롯되는 건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당분 섭취로 몸 안에 요산(uric acid)이 축적되면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당분을 많이 섭취해 대사 결함이 생긴다고 해도, 물을 많이 마시든가 해서 요산 생성을 막으면 오히려 수명 단축을 피할 수 있다는 게 동물 실험에서 확인됐다.

 여기에는 당분이 일으키는 탈수증(dehydration)이 연관돼 있다. 탈수증은 고혈당과 당뇨병의 초기 증상이기도 하다.

 영국의 'MRC 런던 의과학 연구소(MRC London Institute of Medical Sciences)' 과학자들은 이런 내용의 논문을 저널 '세포 대사(Cell Metabolism)'에 발표하고, 별도의 논문 개요를 19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했다.

 연구팀이 초파리 모델에 실험한 결과, 당분이 많이 든 먹이를 계속 줘서 대사체계에 결함이 생겨도 추가로 물만 충분히 공급하면 수명이 줄지 않았다.

 그 원인은 신장의 대사체계에 있었다.

 과도한 당분을 섭취하면, 퓨린(purine)의 최종 대사 산물인 요산이 축적돼 신장 결석이 생겼다.

 퓨린은 질소를 포함하는 방향성 헤테로 고리 화합물인데, DNA 구성 염기인 아데닌(adenine)과 구아닌(guanine)은 모두 퓨린 유도체다.

 연구팀은 물로 요산을 희석하거나 약물로 요산 형성을 차단해 신장 결석이 생기지 않게 하면, 당분 섭취에 따른 수명 단축을 예방할 수 있다는 걸 밝혀냈다.

 이런 결과는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인간 실험에서도 확인됐다.

 실제로 음식물을 통해 당분을 많이 섭취한 피험자는, 상대적으로 신장 기능이 나빠지고 혈중 퓨린 수치도 올라갔다.

 요산의 축적은 신장 결석과 통풍의 직접적 원인으로 꼽힌다.

 나이가 들면 요산 수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혈중 요산 수치는 당뇨병 등 대사질환의 예고 지표로 활용되기도 한다.

 그렇다고 물만 충분히 마시면 당분을 실컷 섭취해도 괜찮은 건 아니라고 연구팀은 강조한다.

 이 연구를 주도한 엘레나 코체메 박사는 "당분을 많이 섭취한 초파리는 물을 충분히 먹고 오래 살 수도 있지만 여전히 건강하지 않다"라면서 "핵심은 당분 섭취로 인한 수명 단축이 반드시 비만의 직접적 결과는 아니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체메 박사는 제휴 관계인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산화 환원 대사(Redox Metabolism)' 그룹 책임자이기도 하다.

 그는 이번에 발견한 퓨린 경로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면, 건강한 노화를 촉진하는 치료 표적과 전략 을 발견하리라고 기대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비대면 진료시 '위고비' 오남용 없도록" 병원에 당부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다는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자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 오남용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위고비 처방 시 충분한 진료를 통해 대상 환자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등의 내용이 담긴 공문을 대한병원협회를 통해 각 병원에발송했다. 위고비는 비만 환자의 체중 관리를 위한 보조제로,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환자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정부는 물론 의료계도 여러 차례 경고해왔다. 이러한 경고에도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살피지 않은 채 비대면 진료를 통해 위고비를 처방하는 등 오남용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복지부는 "(위고비를) 다이어트 목적으로 쉽게 처방받을 수 있다고 환자가 오인하게끔 홍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특히 비대면 진료 시 의약품 오남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위고비 처방 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사항을 준수하고, 담낭 질환이나 췌장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도 사전에 설명해달라고 요청했다. 위고비는 국내에서 BMI 30 이상인 비만 환자 또는 BMI 27 이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