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 중추신경계 질환 '다발성 경화증' 신약 나온다

  난치성 중추신경계 질환인 다발성 경화증(MS: multiple sclerosis) 치료 신약 오자니모드(ozanimod)가 미국 식품의약청(FDA)의 승인을 받았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26일 보도했다.

 다발성 경화증은 면역체계가 뇌와 척수 등 중추신경계를 산발적으로 공격해 발생하는 일종의 자가면역질환으로 평형, 운동, 시력, 언어, 감각, 성 기능, 배뇨-배변 장애, 인지장애 등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난다. 현재 완치 방법은 없다.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 제약회사는 이 신약에 제포시아(Zeposia)라는 이름을 붙여 판매할 예정이다.

 오자니모드는 매일 한 번 경구 투여하는 면역조절제로 임상시험에서 재발형 다발성 경화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됐다.

 이 신약은 다발성 경화증의 재발 빈도를 감소시키고 뇌 위축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오자니모드는 뇌 신경세포의 보호막인 미엘린 수초(myelin sheath)를 공격하는 면역세포 림프구 표면의 수용체와 결합, 림프구의 뇌 진입을 차단한다.

 따라서 활성화된 림프구의 수가 줄어들면서 면역체계의 공격도 감소한다.

 미엘린 수초는 신경세포들을 연결하는 신경섬유를 보호하기 위해 전선의 피복처럼 둘러싸고 있는 보호막이다. 다발성 경화증은 면역체계가 이 미엘린 수초를 공격, 신경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을 방해함으로써 발생한다.

 미국에는 다발성 경화증 환자가 100만명에 이르고 있으며 이 중 85%가 재발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이다.

 오자니모드는 염증성 장 질환(IBD:inflammatory bowl disease)인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로도 현재 3상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염증성 장 질환은 면역체계가 대장(궤양성 대장염) 또는 주로 소장(크론병)을 표적으로 오인, 공격함으로써 장 점막에 다발성 궤양과 출혈, 설사, 복통을 일으키는 만성 난치성 장 질환이다.

 이 신약은 미국 스크립스 연구소(Scripps Research Institute)의 휴 로젠 박사 연구팀이 개발해 신생 기업 리셉토스(Receptos)에 특허권을 넘겼고 셀진(Celgene) 제약회사가 리셉토스 사로부터 특허권을 사들였다. 셀진 사는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 사의 자회사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풀무원 빵류 2종서 식중독균…식약처, 판매 중단·회수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제조·가공업체(유)마더구스가 제조하고 풀무원 계열 (주)푸드머스가 유통·판매한 '고칼슘 딸기크림 롤케이크'와 '고칼슘 우리밀 초코바나나빵'에서 식중독균인 살모넬라균이 검출돼 이를 판매 중단하고 회수한다고 5일 밝혔다. 고칼슘 딸기크림 롤케이크 용량은 50g으로 소비기한은 올해 10월 12일이다. 고칼슘 우리밀 초코바나나빵 용량은 22g, 소비기한은 9월 21일이다. 이번 회수는 식약처, 질병관리청, 지자체 등이 최근 충북 지역 2개 집단급식소에서 발생한 식중독에 대한 원인조사를 실시한 뒤 진행됐다. 급식으로 제공된 상기 2개 제품과 식중독 의심 증상을 보인 환자에게서 모두 동일한 유전형의 살모넬라균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가 검출됐다. 식약처는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섭취를 중단하고 구입처에 반품하라고 당부했다. 푸드머스는 이 제품 2종 약 2만7천개를 전국 급식사업장에 납품했고, 이중 두 곳에서 일부 식중독 의심 증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푸드머스 관계자는 "사실을 인지한 즉시 해당 제품에 대한 납품을 전면 중단했고 납품한 제품 전체를 자진 회수해 전량 폐기했다"고 말했다. 이어 "제조사인 마더구스가 생산한 제품에 대해서도 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