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본 대학 "세포의 단백질 분해 메커니즘 이용 암 성장 억제"

암세포 필수 단백질에 '폐기 스티커' 부착→ 프로테아좀이 파괴
독일 본 대학 연구진, 저널 '케미컬 사이언스'에 논문

 우리 몸의 세포가 제 기능을 하려면 쉬지 않고 단백질을 만들어야 한다.

 그런데 쓸모가 없어진 단백질에는 분자 '폐기 스티커'가 붙는다. 그러면 단백질 분해 효소 복합체인 프로테아좀(proteasome)이 딱지 붙은 단백질을 파괴해 재활용 사이클로 넘긴다.

 프로테아좀의 이런 단백질 분해 메커니즘을 이용해 암 성장을 억제하는 치료법을 독일 과학자들이 개발했다.

 쉽게 말하면 암세포의 성장에 꼭 필요한 단백질에 분자 '폐기 스티커'를 붙여, 프로테아좀이 파괴 목표로 오인하게 하는 것이다.

 독일 본 대학 약물학 연구소의 미하엘 귀초브 교수팀은 관련 논문을 저널 '케미컬 사이언스(Chemical Science)에 발표했다.

 26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여기에는 PROTACs(proteolysis targeting chimeras)라는 '분자 잡종(molecular hybrids)'이 쓰인다.

 연구팀은 시험관에서 PROTACs를 테스트해 프로테아좀의 폐기 메커니즘이 작동한다는 걸 확인했다.

 우리 말로 '단백질 분해 표적 키메라' 정도로 옮겨지는 PROTACs는, 암세포의 표적 단백질에 달라붙는 분자 파트와 스티커 부착 효소와 결합하는 구조적 요소로 구성된다.

 암세포의 표적 단백질에 폐기 스티커를 실수 없이 붙이려면, PROTACs가 단백질과 스티커 효소를 묶어 놔야 하는데 이 과정에 매우 까다롭다.

 수십 종에 달하는 각 세포의 스티커 효소(ubiquitin ligases)에 맞춰, 단백질 결합이 잘 이뤄지는 PROTACs를 만들어 일일이 테스트하는 것도 어려운 작업이라고 한다.

 결국 연구팀은 암세포의 빠른 증식을 돕는 특정 단백질을 표적으로 작용물질(active substances)을 개발해, PROTACs가 프로테아좀의 단백질 파괴를 유도하는 걸 확인했다.

 초브 교수는 "어떤 기술을 써서 작용물질을 최대한 좋게 만들 수 있는지를 이번 연구를 통해 입증했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비대면 진료시 '위고비' 오남용 없도록" 병원에 당부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다는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자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 오남용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위고비 처방 시 충분한 진료를 통해 대상 환자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등의 내용이 담긴 공문을 대한병원협회를 통해 각 병원에발송했다. 위고비는 비만 환자의 체중 관리를 위한 보조제로,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환자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정부는 물론 의료계도 여러 차례 경고해왔다. 이러한 경고에도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살피지 않은 채 비대면 진료를 통해 위고비를 처방하는 등 오남용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복지부는 "(위고비를) 다이어트 목적으로 쉽게 처방받을 수 있다고 환자가 오인하게끔 홍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특히 비대면 진료 시 의약품 오남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위고비 처방 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사항을 준수하고, 담낭 질환이나 췌장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도 사전에 설명해달라고 요청했다. 위고비는 국내에서 BMI 30 이상인 비만 환자 또는 BMI 27 이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