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중독증 노출 아이, 발달장애 위험↑"

 자간전증(임신중독증)에 노출된 아이는 자라면서 여러 형태의 발달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간전증은 임신 후반기에 갑자기 혈압이 오르고 소변에 지나치게 많은 단백질이 섞여 나오는 단백뇨가 나타나면서 손, 다리, 얼굴이 부어오르는 증상으로 대표적인 임신 합병증의 하나이다. 이로 인해 모체는 신장, 간, 뇌가 손상될 수 있고 태아는 조산, 사산 등의 위험이 커진다.

 미국 국립보건원(NI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의 앨런 윌코스 박사 연구팀이 임신 중 자간전증을 겪은 여성이 만기 출산한 아이 2만8천68명을 포함, 총 98만560명의 노르웨이 아이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뉴욕 타임스 인터넷판 등이 2일 보도했다.

 자간전증에 노출된 아이는 다른 아이들에 비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위험이 18%,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위험이 29%, 지적 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위험이 5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아이들은 또 뇌전증 발생률이 50% 높았고 시력장애 또는 난청 위험도 21% 높았다.

 이 결과는 출생 체중, 아이의 성별, 출생 때 어머니의 연령, 부모의 교육 수준, 어머니의 결혼 상태(marital status) 등 다른 변수들을 고려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그러나 이 수치들은 상대적인 위험이 높다는 것이지 절대적인 위험은 매우 낮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자간전증에 노출된 아이 중 만기 출산으로 태어난 아이들만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자간전증으로 인한 조산이 이러한 결과를 가져올수 있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의학협회 저널 정신의학(JAMA Psychiatry) 최신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비대면 진료시 '위고비' 오남용 없도록" 병원에 당부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무분별하게 처방되고 있다는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자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 오남용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위고비 처방 시 충분한 진료를 통해 대상 환자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등의 내용이 담긴 공문을 대한병원협회를 통해 각 병원에발송했다. 위고비는 비만 환자의 체중 관리를 위한 보조제로,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이다. 환자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정부는 물론 의료계도 여러 차례 경고해왔다. 이러한 경고에도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살피지 않은 채 비대면 진료를 통해 위고비를 처방하는 등 오남용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복지부는 "(위고비를) 다이어트 목적으로 쉽게 처방받을 수 있다고 환자가 오인하게끔 홍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특히 비대면 진료 시 의약품 오남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위고비 처방 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사항을 준수하고, 담낭 질환이나 췌장염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도 사전에 설명해달라고 요청했다. 위고비는 국내에서 BMI 30 이상인 비만 환자 또는 BMI 27 이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