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아이가 자폐증에 잘 걸리는 이유 밝혀졌다"

X염색체 유전자 결함, 남은 Y염색체 유전자로 채우지 못해
미 NINDS 연구진, 저널 '뉴런'에 논문

 흔히 자폐증으로 통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는 여자아이보다 남자아이가 잘 걸린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지를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 신경질환 뇌졸중 연구소(NINDS) 과학자들이 밝혀냈다. 관련 논문은 저널 '뉴런(Neuron)'에 실렸다.

 4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인간의 세포에는 두 개의 성염색체가 있다. 남성은 X염색체와 Y염색체가 하나씩이고, 여성은 X염색체만 두 개다.

 NINDS의 캐서린 로슈 박사팀은 X염색체와 Y염색체에 있는 두 종류의 NLGN4 유전자, 즉 NLGN4X와 NLGN4Y를 비교했다.

 NLGN4 유전자는 뇌 신경세포(뉴런) 연접부인 시냅스의 형성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이들 두 유전자가 뉴런에서 거의 똑같은 기능을 할 거로 추정했다. 두 유전자의 코드로 만들어지는 단백질이 97% 일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험 결과는 달랐다. 로슈 박사팀은 두 유전자의 신호로 생성되는 단백질이 서로 다른 기능을 한다는 걸 발견했다.

 예컨대 남성에만 있는 NLGN4Y의 코드로 만들어지는 단백질은, 뉴런 표면에 근접하는 능력이 떨어졌다.

 그 결과 시냅스를 제대로 유지하지 못했고, 뉴런과 뉴런 사이의 신호 전달에도 장애를 가져왔다.

 NLGN4Y의 이런 문제는 단 하나의 아미노산이 돌연변이를 일으킨 것에서 비롯됐다. NLGN4X도 이 아미노산을 둘러싸고 있는 영역이 돌연변이에 민감하기는 마찬가지였다.

 ASD나 지적 장애를 가진 환자는 이 영역에서 다수의 돌연변이가 발견됐다.

 NLGN4X의 영역에서 단백질 수위에 영향을 줄 만한 돌연변이가 생기면, 이런 ASD 연관 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한다.

 여성의 경우 NLGN4X 유전자 한 개가 돌연변이를 일으켜도 나머지 하나가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그러나 남자아이는 남은 NLGN4Y로 고장 난 NLGN4X를 대신할 수 없다. NLGN4X는 기능이 다른 유 전자이기 때문이다.

NLGN4X의 돌연변이와 관련된 자폐증이 남자아이한테 더 많이 발생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을 것으로 과학자들은 추정한다.

논문의 제1 저자인 띠엔 A. 응우엔 박사는 "NLGN4X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넓은 범위에서 뇌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라면서 "하지만 NLGNY의 역할은 아직 분명하지 않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연세암병원 하반기 중입자치료 풀가동…난치 3대암 생존율 제고
국내 최초로 암세포를 정밀 타격해 없애는 중입자 치료기를 도입한 연세암병원이 올해 하반기 치료기 1대를 추가해 중입자 치료를 완전히 가동하면서 치료 암종을 확대한다. 여기에 로봇 수술, 빅데이터 연구 등을 강화함으로써 폐·간·췌장암 등 3대 난치암 생존율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연세암병원은 17일 연세대 동문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렇게 밝혔다. 1969년 국내 최초로 암 치료 전문기관으로 설립된 연세암병원은 처음으로 선형 가속기를 국내로 들여오고, 첫 골수 이식에 성공한 데 이어 2023년에는 최초로 중입자 치료기를 도입했다. 중입자 치료기는 탄소 이온을 거대한 입자 가속기에 주입해 암세포를 빛의 속도로 정밀 조준 타격함으로써 없애는 장비다. 연세암병원은 하반기에 치료기 1대를 더해 총 3대를 가동하고, 두경부암, 골육종암 등으로 치료 암종을 늘린다. 연세암병원은 2년 전 중입자 치료기를 도입해 전립선암 치료에 활용하다가 지난해부터는 췌장암, 폐암, 간암 등으로 적용 범위를 늘렸다. 지난해 말까지 중입자 치료 누적 환자는 총 538명이다. 치료기를 모두 가동하지만, 치료 대기 인원보다는 아직 적은 수준이기에 향후 병원만의 프로토콜을 개발해 대응한다는 방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모바일게임으로 자폐청소년 사회성 개선…디지털치료 효과확인"
모바일 게임 형태의 디지털 치료가 자폐스펙트럼장애나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를 가진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유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유재현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최태영 대구가톨릭대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모바일 게임으로 만든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는 2023년 8월부터 11월 사이 삼성서울병원, 서울성모병원, 대구가톨릭대의료원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또는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를 진단받은 10∼18세 청소년 38명을 대상으로 수행됐다. 연구팀은 이들을 약물·심리치료 등 기존 방식으로 치료받은 19명과 기존 방식에 모바일 게임 훈련을 병행한 19명으로 나눠 6주간 관찰했다. 모바일 게임 훈련은 뉴다이브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사회적 의사소통 장애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해 개발한 'NDTx-0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했다. 이 프로그램은 학교에서 주로 접하는 다양한 상황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게임을 하듯 임무를 수행하며 문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됐다. 예컨대 친구와의 첫 만남을 가정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적절한 반응을 선택하게 해 대화를 이어가는 식이다.

메디칼산업

더보기
'임상 실패' 제약바이오 기업들 경영도 '흔들'
신약 개발을 추진하던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최근 임상에 실패하면서 경영상 어려움에 부닥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18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신약 연구·개발기업인 오스티오뉴로젠은 오는 25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회사 해산의 건을 상정한다. 오스티오뉴로젠은 임시 주총 소집 통지서에서 2020년 ONG41008 특발성폐섬유화 치료제의 임상 1상 승인을 목표로 기관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유치하고 코스닥 상장사 출신 개발 임원을 영입해 목표 달성을 전사적으로 추진해왔지만 개발 물질의 합성 공정을 다시 개발하는 등 여러 개발상 난항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않은 개발 지연과 예산 부족에 직면했다고 설명했다. 오스티오뉴로젠은 올해 3월까지 확보된 최신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제약업계 전문 기술중계기관의 한국지사장을 비롯한 여러 전문가를 만나 기술평가 및 사업추진방안을 수개월에 걸쳐 논의한 결과 안타깝게도 상업적 개발 추진이 어려움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회사 측은 이사회 및 기관투자자들과 간담회를 통해 꾸준히 논의한 결과 현시점에서 지분구조 및 기술 수준 등을 종합할 때 더 이상 자본금 조달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며 "이사회 및 기관투자자 주주들과 논의한바 주주 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