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회, 공적마스크 개별포장 생산 촉구…"묶음포장 안 받아"

공적마스크 40% 벌크로 공급…"일선 약국서 '수취 거절' 예정"

 대한약사회는 약국에 공급되는 공적마스크를 1∼2개 단위로 개별 포장해 생산해야 한다고 9일 촉구했다.

 약사회에 따르면 공적마스크의 40%는 수백장이 한 단위로 포장된 '벌크'(bulk) 상태로 약국에 공급된다. 약국에서는 이 마스크를 소분해 판매하고 있다.

 약사회는 "벌크 포장은 소분 과정에서 위생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소비자가 제조업체, KF 등급, 유통기한 등을 확인할 수 없다"며 "1∼2개 단위로 소포장해 생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벌크 포장 단위의 제품에 대해서는 유통업체에 공급 중단을 요청하고, 일선 약국에서 '수취 거절'하도록 입장을 정했다"며 "정부는 소포장 제품에 대해 조달 가격에 인센티브를 반영하고, 벌크 제품의 사용처를 교육부, 선거관리위원회, 관세청 등 정책 목적으로 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적마스크 5부제 시행 초기 500만개 수준이던 마스크 일일 공급량은 현재 2배가 돼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며 "마스크 공급 정책을 물량 중심에서 품질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약사회는 또 불량제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부 제조업체에서 생산하는 공적마스크에서 오염, 이물질 검출, 머리끈 탈락, 수량부족 등 소비자의 불만이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약사회는 "불량제품으로 구매거부, 반품 요구, 소비자 항의가 급증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며 "마스크 품질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품질 개선을 유도하고, 기준에 적합하지 못한 제품은 공적마스크 공급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밖에 약사회는 국민의 마스크 선호도를 반영해 KF80보다 KF94 마스크를 중점적으로 생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5부제 구매제는 유지하되 대리구매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미네랄과 금식의 역설
◇ 알려지지 않은 무기질의 위험성 건강한 식생활에 꼭 필요한 요소로 비타민과 미네랄을 꼽는다. 그런데 독자 여러분은 미네랄 중에서도 먹어서는 안 되는 해로운 미네랄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우선 미네랄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미네랄이라고 하면 대개 미네랄워터를 떠올릴 것이다. 미네랄워터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광물질이 미량 함유된 물을 뜻한다. 그렇다면 미네랄이란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광물질을 뜻한다. 그렇다. 미네랄은 광물, 광석, 무기물이란 뜻으로 무기질이라고도 한다. 무기물에 대해서는 과학 시간에 배웠을 것이다. 돌이나 흙을 구성하는 광물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로, 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양분을 바로 무기물이라고 한다. 미네랄이라고 했을 때는 단순히 몸에 좋은 어떤 물질 같았는데, 그 정의를 파고들다 보니 함부로 먹어서는 안 될 것 같지 않은가? 실제로 그렇다. 우리가 흔히 섭취하는 미네랄 중에는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표적인 예가 알루미늄이다. 음료수 캔이나 포일을 만들 때 쓰이는 은백색의 가볍고 무른 금속이다. 알루미늄 섭취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알루미늄을 왜 먹느냐고 생각할 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