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관절염, 물리치료가 스테로이드 주사보다 낫다"

 무릎 관절염은 염증을 가라앉히는 스테로이드 주사보다 물리치료가 훨씬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브루크 육군 메디컬센터(Brooke Army Medical Center) 정형외과 도수 물리치료 전문의 게일 데일 교수 연구팀이 무릎 관절염 환자 156명(평균연령 56세)을 대상으로 1년에 걸쳐 진행한 실험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9일 보도했다.

 한마디로 스테로이드 주사는 물리치료에 비해 이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이들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엔 전문 치료사의 조언 아래 운동과 함께 도수 물리치료(manual physical therapy)를 1년 동안 받게 하고 다른 그룹엔 1년에 최대 3번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도록 했다.

 도수 치료는 조금씩 강화되는 운동을 거의 통증 없이 계속하는 데 도움이 됐다.

 두 치료법의 효과 차이는 치료 첫 라운드부터 뚜렷하게 나타났다.

 스테로이드 그룹은 주사 후 집에서 72시간 쉬면서 주사 맞은 무릎에 냉찜질하거나 진통제를 복용해야 했지만, 물리치료 그룹은 기분 좋게 치료실을 떠났다.

 1년 후 효과의 차이는 더욱 뚜렷해졌다.

 물리치료 그룹은 전체적으로 무릎 통증과 경직이 스테로이드 그룹보다 훨씬 덜 했고 무릎 관절 기능 점수도 높게 나왔다.

 실험 시작 땐 물리치료 그룹이 스테로이드 그룹보다 증상이 더 심했는데 1년 사이에 발생한 1건의 무릎 관절 내시경 수술(arthroscopic knee surgery)과 3건의 무릎 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replacement)은 모두 스테로이드 그룹에서 나왔다.

 1년간 치료에 든 비용은 두 그룹이 비슷했다.

 보통 무릎 관절염 환자는 절반이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는다. 물리치료가 처방되는 환자는 10%밖에 안 된다.

 그러나 스테로이드 주사는 무릎 관절의 노화 촉진, 연골 손실 확대, 감염, 골절 위험 증가 등의 부작용이 따른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가 무릎 관절염 치료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의학 전문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최신 호(4월 8일 자)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하는 앵무새 비밀은…"뇌가 인간 뇌 언어 영역처렴 작동"
사람 말을 잘 흉내 내는 앵무새의 일종인 잉꼬가 말을 할 때 뇌의 특정 영역이 인간 뇌에서 언어와 관련이 있는 영역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대 그로스만의대 마이클 롱 교수팀은 20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앵무새가 소리를 낼 때 뇌 활동을 기록해 분석한 결과 앵무새 뇌가 말을 할 때 인간 뇌에서만 볼 수 있는 활동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는 인간과 앵무새가 비슷한 뇌 메커니즘을 사용해 복잡한 소리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는 앵무새를 언어 연구와 언어 장애 치료법 개발을 위한 모델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인간의 말은 의사소통의 한 복잡한 형태로 발성기관을 정밀하게 제어해 다양한 단어를 만들어내야 한다. 인간만이 발성을 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은 아니며 새도 이런 형태의 의사소통을 사용하지만 그 방식은 다르다. 특히 앵무새의 일종인 잉꼬는 사람의 말을 흉내 내는 등 다양한 발성을 할 수 있으며, 연구자들은 인간과 잉꼬에서 소리를 생성하는 데 기반이 되는 신경 과정이 비슷할 것으로 추정해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놀랍도록 유연한 인간 음성 언어를 만드는 섬세한

메디칼산업

더보기
찢어져도 10초 안에 80% 이상 회복되는 전자피부 개발
한국연구재단은 서울시립대 김혁 교수 연구팀이 찢어져도 10초 안에 80% 이상의 기능을 복구할 수 있는 자가 치유 전자피부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웨어러블 기기의 하나인 전자피부는 촉각을 느끼거나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부착 부위 상처를 치료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마찰, 찢어짐, 스크래치 등 기계적 손상에 취약해 장기간 착용하기 어렵다. 손상을 80%까지 복구할 수 있는 전자피부가 개발됐지만, 복구하는 데 1분 정도 걸려 그사이 측정이 끊기고, 복구하려면 열이나 빛과 같은 외부 자극이 필요해 실용화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유연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에 이황화물 화합물을 도입, 외부 자극 없이도 스스로 다시 결합할 수 있는 이황화 결합을 형성하도록 설계했다. 여기에 분자 이동성이 높은 화합물을 첨가, 자가 치유 능력을 극대화했다. 이렇게 개발된 자가 치유 전자피부는 상온에서 10초 이내 80% 이상 기능을 회복하는 성능을 보였다. 고온·고습·저온·수중 등 극한 환경에서도 근전도와 심전도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손상 후에도 자가 치유를 거쳐 신호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했다. 김혁 교수는 "실시간 생체 신호 모니터링과 인공지능(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