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0일 조간)

▲ 경향신문 = 윤석열 '승복' 밝히고, 헌재는 '신속 심리' 약속 지켜야

'강남 토허제' 원위치, '선거용 선무당' 정책 없어야

'1.5도 방어선' 깨진 지구, 생존 위한 탄소감축 가속해야

최 대행에게 "몸조심하라"는 이재명 대표의 막말

의대생 집단휴학 불허 원칙 끝까지 지켜져야

▲ 동아일보 = '잠삼대청' 토허제 풀었다 되레 대폭 확대… 주민들 웬 날벼락

40개 의대 '집단 휴학' 불허, 의대생·전공의 이젠 돌아올 때다

삼성을 現 위기로 몰아넣은 사법족쇄 10년… 누가 책임지나

▲ 서울신문 = 헌재 압박에 "崔 몸조심" 겁박… 여야, 차분히 기다려야

다시 '토허제'… 한 달 만에 널뛰기하는 집값 정책이라니

수익만 챙기고 책임은 팽개치는 사모펀드, 이래도 되나

▲ 세계일보 = '토허구역' 해제 한 달 만에 확대지정 부른 졸속행정

'尹 파면' 독촉하는 野, 과도한 헌재 압박이다

우크라전 부분 휴전, 가속화할 북·러 협력 더 경계할 때

▲ 아시아투데이 = 李 대표의 '崔 대행 협박', 있을 수 없는 일

대통령 부재에 리스크 부각되는 안보와 경제

▲ 조선일보 = 최 대행에게 "몸조심하라" 협박 李, 할 말을 잊는다

처벌 대신 정치적·금전적 이득 보는 괴담 유포

외국인은 한국서 투표, 한국인은 외국서 투표 불가

▲ 중앙일보 = 토허제 한 달 만에 더 확대, 혼선 어떻게 책임질 건가

"최 대행 몸조심하라" 이재명 대표 발언 선 넘었다

▲ 한겨레 = 자명한 결론 두고 선고 늦추는 헌재, 혼란 키우지 말라

토지거래허가제 오락가락, 무책임한 오세훈 시장

핵무장론 멈추고 '민감국가' 4월 발효 저지 집중해야

▲ 한국일보 = 늦어지는 尹 선고… 헌재의 시간 존중하나 정치 고려 없어야

오세훈의 어설픈 소신에 서울 집값만 뛰었다

"최상목, 몸조심하라"는 이재명, 유력 대선주자가 할 말인가

▲ 글로벌이코노믹 = 컨테이너선 운임이 보내는 침체 신호

폐업 소상공인 100만 명 시대 해결책은

▲ 대한경제 = 결국 '토허제' 확대 재지정… 오 시장 성급함이 화불러

책임준공 개선안, '독박' 완화 기대되지만 모니터링 계속해야

▲ 디지털타임스 = 李, 崔대행에 "몸조심" 협박… 정치적 조급증 따른 막말인가

백기 든 吳, 토허제 재지정… `졸속 정책`이 부른 예견된 참사다

▲ 매일경제 = 의대생 복귀 안하면 원칙대로 … 국민도 참을만큼 참았다

보조금 빼먹기 역대 최대, 적발 못하는건가 안하는건가

토허구역 한 달 만에 확대 재지정, 뼈아픈 정책실패

▲ 브릿지경제 = 모수개혁이라도 먼저 해 '급한 불' 꺼야

▲ 서울경제 = 복귀 않는 의대생·전공의, 대안도 없이 피해자 행세만 할 건가

오락가락 정책에 불붙는 집값, 컨트롤타워 가동해 대처하라

여야 감세 경쟁 가열…세제 수술하되 세수 부족 고려해야

▲ 이데일리 = 병원 마당에서 구급차 분만… 응급의료가 응급 상태다

불붙은 여야 감세 경쟁, 세수 펑크에는 왜 말이 없나

▲ 이투데이 = 의료·교육 현장 떠난 이들에겐 무관용뿐이다

▲ 전자신문 = 같은날 AI칩 성장 내다본 韓美기업

▲ 파이낸셜뉴스 = 미복귀 의대생 제적 확정, 더는 관용 베풀지 말라

부동산 정책 실패 자인한 정부, 집값 안정에 최선을

▲ 한국경제 = 우리도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준 LG '엑사원 딥'

본인은 신변 위협 호소 … 최상목엔 "몸조심하라"는 이재명

강남 3구·용산 전체 거래허가제, 과잉 규제 아닌가

▲ 경북신문 = APEC 성공여부는 결국 경주시민의 노력에 있다

▲ 경북일보 =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대책 신속 시행을

▲ 대경일보 = 어린 여배우의 죽음과 우리의 책임

美 '민감국가' 지정의 심각성과 정부의 책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