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연 "한약재 인삼·현초·건칠의 항암 효과 확인"

"세포실험 통해 면역관문 억제제 활용 가능성 제시"

 한약재 인삼, 현초(이질풀), 건칠(옻나무 수액 말린 것)이 암세포 때문에 떨어진 면역 기능이 회복되도록 돕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정환석 박사 연구팀이 인삼, 현초, 건칠이 암세포가 면역반응을 피하기 위해 활용하는 '면역관문'을 차단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4일 밝혔다.

 면역관문은 면역세포가 자신의 건강한 세포를 공격하지 못하도록 활성을 떨어뜨리는 기전이다. 암세포는 이러한 기전을 역이용해 면역관문 단백질을 자극, 인체의 면역기능을 억제하며 성장하는 특성이 있다.

 최근 이 같은 암세포의 면역반응 회피 신호를 차단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돕는 면역관문 억제제(면역항암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효과가 제한적이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면역 과민 반응이 적으면서도 저렴하고 효능이 우수한 신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연구팀은 1천여 종의 한의소재를 세포실험을 통해 탐색한 결과 인삼, 건칠, 현초가 면역관문을 자극하는 단백질의 결합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단백질 간 결합을 발광을 통해 측정하는 방법인 '경쟁적 효소결합면역측정법'을 이용해 실험한 결과, 인삼 내 사포닌 대사체의 일종인 'Rg3'와 '컴파운드 케이'(C-K)가 면역관문 단백질 'PD-1'의 분자 결합을 최대 67%까지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초 역시 PD-1의 분자 결합을 60%까지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칠은 면역관문 단백질 'CTLA-4'를 차단하는 효과를 보였다.

 정환석 박사는 "이들 한약재의 암세포 사멸 효과가 아닌 면역세포 강화 효과를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차세대 면역항암제 개발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머리가 있냐 없냐" 간협, '태움' 등 피해 간호사 심리상담
"보호자에게 폭행당했다는 데도 병원은 '그냥 참으라'고만 하더라. 그 일을 겪은 뒤에는 환자 얼굴만 봐도 숨이 막혔다. 병원은 끝까지 '너만 참으면 된다'고 했다."(간호사 A씨) "출근해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상급자 눈치를 보는 거다. 상급자가 기분이 나쁜 날에는 하루 종일 업무를 지적하고 후배들 앞에서 모욕을 주는 게 다반사다. 얼굴에 대고 악을 지르거나 '너 때문에 일을 못 하겠다', '머리가 있냐 없냐', '우리 집 개도 너보다 말을 잘 듣는다'는 등 폭언이 이어진다."(간호사 B씨) 간호사 2명 중 1명이 이처럼 현장에서 폭언이나 폭행 등 인권침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대한간호협회(간협)가 지난 21일 간호사의 정신건강 증진과 인권 보호를 위한 '간호사 심리상담 전문가단'을 공식 출범했다. 간협은 이날 출범한 전문가단과 간호인력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태움' 등 인권침해 등을 겪은 간호사 대상 심리상담 지원과 간호사 내부 조직문화 개선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태움'은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를 괴롭히며 가르치는 방식과 그런 문화를 지칭하는 용어다.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표현에서 유래했다. 교육이라는 명목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텐트 시술받고 아스피린 먹는 환자, 수술 전 중단해도 될까
심근경색 등으로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는 재발을 막기 위해 아스피린을 평생 먹는다. 문제는 이들이 심장이 아닌 다른 부위 수술을 받을 때다.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면 혈전 위험이, 반대로 유지하면 수술 중 출혈 위험이 커질 수 있어서다. 상반된 우려가 공존하는 가운데 스텐트 시술 후 아스피린을 먹는 환자가 다른 수술을 앞두고 복용을 중단하더라도 주요 합병증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에 따르면 안정민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2017∼2024년 전국 의료기관 30곳의 환자 1천10명을 분석한 결과, 수술 30일 이내 사망·심근경색·스텐트 혈전증·뇌졸중 등 주요 합병증 발생률은 아스피린 유지군 0.6%, 중단군 0.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의 20% 상당은 통상 2년 이내에 정형외과나 안과 등 다른 진료 분야 수술을 받는데, 이때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국내외 임상 진료 지침은 출혈 위험이 아주 크지 않다면 아스피린 유지를 권고하고 있지만,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수술 전 아스피린 중단이 전제되는 경우가 많아 혼선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