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연구소, 김치 코로나19 항바이러스 효능 연구

 한국식품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미생물기능성연구단 권민성 박사 연구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김치의 항바이러스 효능을 검증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면역력을 높일 수 있는 건강식품으로 김치가 관심을 받고 있다.

 권민성 박사 연구팀이 주관하고 전북대·한국생명공학연구원·한국화학연구원과 공동으로 김치로부터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소재 개발·연구를 하고 있다.

 김치연구소는 김치로부터 항바이러스 후보인 유산균 20여종을 분리해 면역 활성 소재를 찾고 전북대는 유산균의 항바이러스 효능을 분석할 계획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항바이러스 효능을 검증하고 한국화학연구원은 임상 효능을 평가한다.

 최근 해외 연구에서 우리나라가 김치를 주로 먹는 식생활 때문에 코로나19 사망자 수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고 발표해 주목을 받고 있다.

 김치연구소는 김치의 항바이러스 효능을 규명하려 한국식품연구원과 항바이러스 효능이 있는 유산균 3종과 바이러스 감염 억제 능력이 우수한 김치 재료(파·생강·배추)를 발굴했다.

 세계김치연구소 최학종 소장 직무대행은 "천연물질을 소재로 한 대부분의 항바이러스제는 해외 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식품인 김치로부터 항바이러스제 후보 물질을 성공적으로 발굴해 국내 고유의 기술 축적은 물론 김치의 항바이러스 효능을 과학적으로 밝혀내 김치 종주국의 위상을 더욱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