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적으로 높은 치매, 심혈관 건강하면 낮아진다"

유전적 치매 위험과 심혈관 건강, 치매 '독립 변수' 작용 확인
미 보스턴대 연구진, 저널 '신경학'에 논문

 유전적으로 치매 위험이 높은 사람도 심혈관계가 건강하면 치매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한 치매 발생에 관여하는 변이 유전자형과 심혈관계 건강은 치매 위험을 올리거나 내리는 데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한다는 것도 밝혀졌다.

 미국 보스턴대 의대 과학자들은 21일(현지시간) 이런 내용의 논문을 저널 '신경학(Neurology)'에 발표했다.

 치매 연관성이 널리 알려진 APOE4 변이 유전자형을 수 개(several) 가진 사람은 치매 발생 위험이, 이런 유전자형이 없는 사람의 2.6배에 달했다.

 하지만 이런 유전적 고위험군도 심혈관계의 건강 상태가 좋으면 치매 위험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논문의 제1 저자인 지나 펠로소 생물통계학 조교수는 "유전적으로 치매 위험이 높다고 해서, 건강에 좋은 라이프스타일로 그 위험을 낮출 수 없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프레이밍햄 심장 연구(Framingham Heart Study)'의 자녀 코호트(offspring cohort) 참가자 1천211명의 의료 데이터를 분석했다.

 치매 유전자로 통하는 APOE4 변이 유전자형은 전체 표본의 10~15%에서 발견됐다.

 연구팀은 미국 심장협회가 제시한 '심혈관 건강 7대 요소', 즉 신체활동·콜레스테롤·건강식·혈압·체중·혈당·흡연 등에 대해 항목별 점수를 매겼다.

 분석 결과, 고득점자의 치매 위험이 저득점자보다 55% 낮았다.

 그러나 치매 위험을 낮추는 유전적 요인과 심혈관 건강의 상호 연관작용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분석에 쓰인 데이터는 1991년부터 1995년까지 생성된 유전자 정보, 심혈관 질환 기록 등이다.

프레이밍햄 심장 연구의 정기적인 치매 검사는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순차적으로 시작됐다.

 1948년에 시작된 이 연구는 미국 내에서 진행된 심혈관 질환 연구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자녀 코호트는 초창기 참가자의 자녀와 배우자로 구성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