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제내성 포도상구균, '저온 아킬레스건' 드러나다

 약칭 '골든 스태프'(golden staph)로도 통하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현존하는 항생제에 잘 반응하지 않는 다제내성균의 대표 주자다.

 황색포도상구균이 페니실린에 잘 반응하지 않은 건 오래됐고, 지금은 페니실린 내성균에 쓰는 메티실린과 반코마이신에도 내성이 생겼다.

 그래서 황색포도상구균엔 MRSA, VRSA라는 별칭까지 붙었다. MRSA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VRSA는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란 뜻이다.

 이 구균은 인체의 피부 표면, 모공, 비강 등에 많이 존재하는데 상처를 통해 몸 안으로 들어가면 폐렴, 폐 화농증, 골수염, 식중독, 독소 쇼크 증후군 등을 일으킨다.

 특히 독소 쇼크 증후군(TSS)은 혈압 저하, 다발성 장기부전 등으로 이어져 치명적일 수 있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여러 유형의 다양한 환경에 잘 견디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주위 환경 변화에 맞춰 적응에 필요한 'RNA 나선 효소'(RNA helicase)라는 단백질을 기민하게 생성한다.

 그런데 'CshA'라는 RNA 나선 효소가 난공불락인 황색포도상구균의 결정적 약점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전자 변이 등으로 이 효소가 결핍된 황색포도상구균은 기온이 25℃ 이하로 떨어지면 성장이 억제됐다.

 실험실 배지(culture medium)에서 이 구균은 제대로 된 균락(세균 집합체)조차 형성하지 못했다.

 이 연구를 수행한 스위스 제네바대(UNIGE) 과학자들은 최근 공개 액세스 과학 저널 'PLOS 유전학'(PLOS Genetics)에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4일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CshA 효소의 결핍이 황색포도상구균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건, 이 효소를 만들지 못하는 황색포도상구균의 변이 유전자 분석에서 확인됐다.

 CshA 효소는, 환경 변화로 쓸모가 없어진 RNA를 분해하는 데 관여하는 단백질이다.

 이 효소를 만들지 못하는 황색포도상구균에서 동시에 발현하는 82개 변이 유전자를 분리해 봤더니, 지방산 생성에 관여하는 게 3분의 2 이상이었다.

 이런 황색포도상구균은 또한 배지 온도가 25℃는 돼야 비로소 균락 형성 능력을 회복했다.

 온도가 이 아래로 떨어지면 지방산 합성과 세포막 기능에 이상이 생겨 제대로 성장하지 못했다.

 UNIGE 의대의 파트리크 린더 미생물학 분자 의학 교수는 "황색포도상구균의 지방산 합성을 억제 하는 약을 개발하면 미래의 치료법이 될 수도 있다"라면서 "과학계 일부가 지지하지만 반박하는 연구 보고도 나와 여전히 논란은 진행형"이라고 말했다.

 제네바대 연구팀의 발견이 이런 논란을 깨끗이 풀 만한 해답은 아니다.

 그러나 항생제 치료가 극히 어려운 황색포도상구균의 환경 변화 적응과 세포막 가변성에서 치료제 개발의 표적을 찾아낸 것이어서 주목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