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항체 형성, 사이토카인 폭풍이 막는다

배중심 형성 방해→B세포의 장기 면역 기억 차단
하버드 의대 연구진, 저널 '셀'에 논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한 번 걸렸다가 회복돼도 장기 면역이 생기지 않는다.

 앓고 나서 항체가 생겨도 대부분 얼마 지나지 않아 기능이 떨어진다. 길어야 3개월이면 항체가 풀린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미국 하버드 의대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GH) 연구진이 마침내 그 이유를 밝혀냈다.

 질 좋은 항체 형성에 꼭 필요한 '배<胚> 중심(germinal centers)' 구조가 림프절과 지라에 생기지 않기 때문이었다.

 바이러스나 세균이 감염했을 때 항체를 만드는 B세포는 바로 이 배중심에서 장기 '면역 기억'을 가진 성숙 세포로 자란다.

 그런데 배중심의 형성을 방해하는 게 바로 중증 코로나19 환자에게 자주 나타나는 '사이토카인 폭풍'이었다.

 결국 과도한 사이토카인이 건강한 항체 형성까지 막는 것이다.

 이 연구를 주도한 하버드 의대의 시브 필라이 교수팀은 21일 저널 '셀(Cell)'에 관련 논문을 공개했다.

 
필라이 교수

 B세포는 배중심에서 성숙해야 침입한 병원체를 평생 기억한다.

 나중에 같은 병원체가 다시 감염했을 때 신속하게 최적의 항체를 생성하려면 이 장기 면역 기억이 필요하다.

 배중심이 만들어지는 데는 '도움 T세포'의 지원도 따라야 한다.

 그런데 코로나19 환자는, 배중심 형성에 관여하는 도움 T세포가 발달하지 않는다는 걸 연구팀은 확인했다.

 실제로 중증 코로나19 환자는 배중심 자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필라이 교수팀은 앞서 감염 질환을 가진 생쥐 실험에서, 사이토카인의 일종인 TNF 수위가 높으면 도움 T세포와 배중심이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걸 알아냈다.

 중증 코로나19 환자는, 배중심이 형성돼야 할 부위에서 다량의 TNF가 관찰됐다.

 코로나19 환자에게 배중심이 생기지 않는 건 집단면역의 발생에도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집단면역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필라이 교수는 "배중심이 형성되지 않으면 해당 바이러스를 오래 기억하지 못해 항체가 생기더라도 효과는 단기간에 그친다"라면서 "코로나19에 걸렸다가 회복한 뒤 6개월쯤 있다가 다시 걸리거나, 심지어 여러 차례 반복해 걸리는 일이 생길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효과적인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된다면 배중심은 분제가 되지 않을 거라고 연구팀은 말한다.

 백신은 사이토카인 폭풍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