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균 감염 여부 10분 만에 진단하는 미세 칩 개발

울산과학기술원 강주헌 교수팀 연구…"감염 극초기·잠복기 환자도 선별 가능"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강주헌 교수팀이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병원균 감염 여부를 즉석에서 진단할 수 있는 미세 유체 칩을 개발했다.

 울산과기원에 따르면 진단은 머리카락처럼 가느다란 관으로 이뤄진 칩에 감염된 혈액(유체)을 넣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혈액 속 백혈구는 관 벽면에 달라붙게 되는데, 감염된 사람은 달라붙는 백혈구 숫자가 건강한 사람에 비해 눈에 띄게 많기 때문에 저배율의 광학 현미경만으로 감염 여부를 쉽게 판독할 수 있다.

 검사에 걸리는 시간은 10분 내외로 짧고, 감염 극초기(감염된 지 1시간)에도 감염 여부를 알아낼 수 있어 열과 같은 증상이 없는 잠복기 환자를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현재 문진이나 체온 검사에 의존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선별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면역 반응은 원인균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모든 종류의 세균, 바이러스 감염 여부 진단에 쓸 수 있고, 감염병뿐만 아니라 암 조기 진단에도 응용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미세 유체 칩의 구조와 유체 관에 부착된 백혈구

 연구팀이 개발한 칩의 유체 관 벽면에는 감염 시 혈관 내피세포가 발현하는 단백질이 코팅됐다.

이 단백질은 백혈구를 붙잡는 역할을 한다.

 환자의 백혈구 표면에서도 혈관 내벽 단백질과 짝을 이루는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며, 이러한 백혈구의 비율도 높아진다.

 연구팀은 항생제 저항성 세균에 감염된 쥐의 혈액 한 방울로 개발된 칩의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감염되지 않은 쥐에 비해 더 많은 양의 백혈구가 유체 관 벽면에 붙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강주헌 교수팀

 강주헌 교수는 "기존 혈액 배양이나 유전자 증폭(PCR) 검사 방법보다 더 이른 시간 안에 진단 결과를 알 수 있고, 진단에 필요한 광학 현미경도 이미지 확대에 필요한 배율이 낮다"며 "5∼10분 내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저렴한 휴대용 진단 시스템을 완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어 "인간의 백혈구는 쥐보다 수천 배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상용화 가능성이 높다"며 "병원과 공동 연구해 환자를 선별하는 임상 연구를 계획 중"이라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엘스비어(Elsevier) 출판사에서 발간하는 세계적인 학술지 '바이오센서스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Biosensors and Bioelectronics)에 8월 29일 자로 온라인 공개돼 출판을 앞두고 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삼성전자미래육성센터, 교육부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