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양성대장염, 조직검사서 염증세포 사라져야 재발률 감소"

악화·호전 반복 특성…"내시경뿐만 아니라 조직검사 필요"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궤양성 대장염은 내시경 검사뿐만 아니라 조직 검사에서도 염증세포가 없다고 확인돼야 재발률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윤혁 교수팀은 2019년까지 보고된 31개의 관련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장 점막에서 염증세포가 없어지는 '조직학적 관해'에 도달한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재발률이 낮다는 것이다.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 점막에 염증으로 인해 궤양이 생긴 만성 면역질환이다. 완치되기 어려운 재발성 질환으로 증상이 악화하는 '활동기'와 호전하는 '관해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악화와 호전이 반복되다 보니 지속해서 관리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한데 잠시 증상이 호전된 상태를 염증이 사라졌다고 착각해 치료에 소홀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다 장내에 남아있던 염증이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상당한 주의가 요구된다.

 의료계에서는 궤양성 대장염을 치료할 때는 내시경으로 궤양이 없어졌는지를 보고 조직검사까지 시행해 염증세포가 완벽히 사라졌는지를 확인(조직학적 관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적지 않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조직학적 관해를 확인하는 실질적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이에 연구팀은 최근까지 보고된 연구를 종합해 조직학적 관해까지 도달한 궤양성 대장염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의 재발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궤양성 대장염을 치료한 후 내시경에서 증상이 호전한 환자 중 조직검사에서도 염증세포가 없다고 확인된 환자는 약 75%였다.

 조직검사 상 염증세포가 없던 환자는 염증세포가 남아 있는 환자에 비해 재발률이 63% 낮았다.

 이와 함께 임상적 증상과 내시경 검사에서 염증이 사라진 환자는 1년 내 재발률이 14%였으나 조직검사에서도 염증이 사라진 것으로 확인된 환자의 재발률은 5% 정도에 불과했다.

 윤 교수는 "현재는 혈변 등의 증상이 호전되고 내시경에서 궤양이 보이지 않는 상태를 궤양성 대장염 치료의 목표로 삼고 있다"며 "연구 결과 조직학적 관해에 도달한 환자에서 재발률이 훨씬 낮은 만큼 앞으로는 점막조직의 염증세포가 완벽하게 치료됐는지 확인하는 조직검사도 치료 목표에 포함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소화기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위장병학(Gastroenterology)(IF 17.373)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머리가 있냐 없냐" 간협, '태움' 등 피해 간호사 심리상담
"보호자에게 폭행당했다는 데도 병원은 '그냥 참으라'고만 하더라. 그 일을 겪은 뒤에는 환자 얼굴만 봐도 숨이 막혔다. 병원은 끝까지 '너만 참으면 된다'고 했다."(간호사 A씨) "출근해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상급자 눈치를 보는 거다. 상급자가 기분이 나쁜 날에는 하루 종일 업무를 지적하고 후배들 앞에서 모욕을 주는 게 다반사다. 얼굴에 대고 악을 지르거나 '너 때문에 일을 못 하겠다', '머리가 있냐 없냐', '우리 집 개도 너보다 말을 잘 듣는다'는 등 폭언이 이어진다."(간호사 B씨) 간호사 2명 중 1명이 이처럼 현장에서 폭언이나 폭행 등 인권침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대한간호협회(간협)가 지난 21일 간호사의 정신건강 증진과 인권 보호를 위한 '간호사 심리상담 전문가단'을 공식 출범했다. 간협은 이날 출범한 전문가단과 간호인력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태움' 등 인권침해 등을 겪은 간호사 대상 심리상담 지원과 간호사 내부 조직문화 개선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태움'은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를 괴롭히며 가르치는 방식과 그런 문화를 지칭하는 용어다.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표현에서 유래했다. 교육이라는 명목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텐트 시술받고 아스피린 먹는 환자, 수술 전 중단해도 될까
심근경색 등으로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는 재발을 막기 위해 아스피린을 평생 먹는다. 문제는 이들이 심장이 아닌 다른 부위 수술을 받을 때다.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면 혈전 위험이, 반대로 유지하면 수술 중 출혈 위험이 커질 수 있어서다. 상반된 우려가 공존하는 가운데 스텐트 시술 후 아스피린을 먹는 환자가 다른 수술을 앞두고 복용을 중단하더라도 주요 합병증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에 따르면 안정민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2017∼2024년 전국 의료기관 30곳의 환자 1천10명을 분석한 결과, 수술 30일 이내 사망·심근경색·스텐트 혈전증·뇌졸중 등 주요 합병증 발생률은 아스피린 유지군 0.6%, 중단군 0.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의 20% 상당은 통상 2년 이내에 정형외과나 안과 등 다른 진료 분야 수술을 받는데, 이때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국내외 임상 진료 지침은 출혈 위험이 아주 크지 않다면 아스피린 유지를 권고하고 있지만,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수술 전 아스피린 중단이 전제되는 경우가 많아 혼선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