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양성대장염, 조직검사서 염증세포 사라져야 재발률 감소"

악화·호전 반복 특성…"내시경뿐만 아니라 조직검사 필요"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궤양성 대장염은 내시경 검사뿐만 아니라 조직 검사에서도 염증세포가 없다고 확인돼야 재발률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윤혁 교수팀은 2019년까지 보고된 31개의 관련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장 점막에서 염증세포가 없어지는 '조직학적 관해'에 도달한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재발률이 낮다는 것이다.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 점막에 염증으로 인해 궤양이 생긴 만성 면역질환이다. 완치되기 어려운 재발성 질환으로 증상이 악화하는 '활동기'와 호전하는 '관해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악화와 호전이 반복되다 보니 지속해서 관리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한데 잠시 증상이 호전된 상태를 염증이 사라졌다고 착각해 치료에 소홀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다 장내에 남아있던 염증이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상당한 주의가 요구된다.

 의료계에서는 궤양성 대장염을 치료할 때는 내시경으로 궤양이 없어졌는지를 보고 조직검사까지 시행해 염증세포가 완벽히 사라졌는지를 확인(조직학적 관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적지 않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조직학적 관해를 확인하는 실질적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이에 연구팀은 최근까지 보고된 연구를 종합해 조직학적 관해까지 도달한 궤양성 대장염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의 재발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궤양성 대장염을 치료한 후 내시경에서 증상이 호전한 환자 중 조직검사에서도 염증세포가 없다고 확인된 환자는 약 75%였다.

 조직검사 상 염증세포가 없던 환자는 염증세포가 남아 있는 환자에 비해 재발률이 63% 낮았다.

 이와 함께 임상적 증상과 내시경 검사에서 염증이 사라진 환자는 1년 내 재발률이 14%였으나 조직검사에서도 염증이 사라진 것으로 확인된 환자의 재발률은 5% 정도에 불과했다.

 윤 교수는 "현재는 혈변 등의 증상이 호전되고 내시경에서 궤양이 보이지 않는 상태를 궤양성 대장염 치료의 목표로 삼고 있다"며 "연구 결과 조직학적 관해에 도달한 환자에서 재발률이 훨씬 낮은 만큼 앞으로는 점막조직의 염증세포가 완벽하게 치료됐는지 확인하는 조직검사도 치료 목표에 포함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소화기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위장병학(Gastroenterology)(IF 17.373)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美FDA, 코로나19 백신접종 대상 '65세 이상·고위험군' 제한 추진
미국 보건·의약당국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을 65세 이상 노령층과 고위험군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미 언론이 21일(현지시간) 전했다. 블룸버그 통신과 미 ABC 방송 등에 따르면 식품의약청(FDA)은 향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65세 이상 또는 기저 질환을 가진 사람들로 제한하기로 하는 계획을 전날 발표했다. 또 FDA의 마틴 마카리 청장과 백신 책임자 비나이 프라사드 박사는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발표한 글에서 건강한 성인과 어린이·청소년에 대한 코로나19 백신은 제약사들이 장기 위약 대조군에 대한 대규모 임상시험을 하지 않을 경우 승인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미 언론은 이런 백신 규제 방침이 제약사들의 비용 부담을 크게 늘려 새로운 백신 개발에 장벽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몇 년간 코로나19 백신은 변종을 거듭해 왔기 때문에 제약사들은 호흡기 바이러스에 취약한 겨울철을 앞두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백신을 업데이트해왔다. 하지만 FDA 측은 젊고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의 경우 위험 대비 효과가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화이자와 모더나 등 제약사들은 코로나19 백신에 관해 FDA와 논의를 진행 중이라면서 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