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치료 후 '암 재발', 아예 싹 자르는 단백질 찾았다

항원 표적 없는 '구경꾼 암세포'까지 면역치료로 죽여
치료 반응 및 잔여 수명 예측도…미 마운트 시나이 의대 논문

 암 종양엔 치료제가 겨눌 만한 분자 표적이 없는 세포도 일부 포함돼 있다.

 그런데 항암 면역치료를 받은 환자 중엔 이런 종양이 완전히 제거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처럼 면역 치료제가 조준할 표적이 없는 암세포까지 죽는 건 하나의 미스터리였다.

 미국 마운트 시나이 의대 연구진이 마침내 그 해답을 제시할 수 있는 단백질을 찾아냈다.

 fas라는 이 단백질을 적절히 조절하면 암 재발을 막는 것도 가능할 거로 과학자들은 기대한다.

 이 연구 결과는 최근 저널 '캔서 디스커버리(Cancer Discovery)'에 논문으로 실렸다.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항암 면역 치료제는 암세포 표면의 항원을 표적으로 삼는다.

 하지만 하나의 종양을 구성하는 모든 암세포에 동일한 표적 항원이 있는 건 아니다.

 예컨대 대부분의 세포가 CD19 표면 단백질을 갖고 있는데 일부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종양이 끊임없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이른바 '항원 탈출(antigen escape)'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표적 항원의 발현이 도중에 중단돼 면역치료가 실패하고 암이 재발하는 걸 말한다.

 연구팀은 인체 면역계의 T세포나 CAR-T 세포를 이용하는 항암 면역 치료제가, 표적 항원을 제시하는 암세포뿐 아니라 표적 항원이 없는 인접 세포까지 죽인다는 걸 알아냈다.

 여기에 직접 관여하는 게 바로 fas 단백질이다.

 '구경꾼 살해(bystander killing)'로도 불리는 이 과정은, FAS 단백질의 조절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을 첨가했을 때 더 활발해졌다.

 마운트 시나이 암 연구소의 림프종 면역치료 프로그램 디렉터인 조슈아 브로디 박사는 "fas 신호를 높이는 저분자 억제제를 면역 치료제와 병행 투여하면 인접 세포 살해 효과가 강해져, 외생 종양의 항원 결핍 변이를 없앨 수 있다"라고 말했다.

 사실 CAR-T, 이중특이항체 등의 T세포 기반 면역치료는 암 치료에 일대 혁신을 가져왔다. 하지만 치료 후 암 재발 등의 한계를 아직 넘지 못하고 있다.

 치료 반응률이 매우 높아 주목받은 CAR-T 세포 치료제를 투여한 환자 중에도 1년 안에 암이 다시 커지거나 재발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CAR-T 세포 치료제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가진 T세포를 조작해 유도탄처럼 암세포만 공격하게 만든 혈액암 치료제다. 현재 노바티스의 킴리아 등 2종만 출시돼 있다.

 연구팀은 CAR-T 세포 치료제의 임상시험에 참여한 비 호지킨 림프종 환자의 종양 샘플을 면밀히 검사해, 종양의 fas 수치를 보면 환자의 치료 반응도와 잔여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는 걸 알아냈다.

한마디로 fas 수치가 높은 환자가 더 오래 지속되는 치료 반응을 보였다.

 연구팀은 fas의 작용을 강화하는 저분자 치료제를 시험 투여해 T세포, CAR-T 세포, 이중특이항체 등이 유도하는 표적 및 비표적 종양 세포 살해가 증가한다는 것도 확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응급실 뺑뺑이' 수용의무 지침, 17개 시도 중 11개 시도 '외면'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비극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17개 시도 가운데 11개 시도는 관련 지침에 응급환자 '수용 의무'를 명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환자가 늘어나는 추석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계속되는 비극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최근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 모두 응급환자에 대한 이송·수용 지침을 수립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그러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응급환자 수용 의무 조항을 지침에 포함한 시도는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경남 등 6곳뿐이다. 응급환자 수용 지침은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개정 응급의료법, 이른바 '동희법'의 후속 조치다. 2019년 10월 응급실 뺑뺑이 끝에 숨진 4세 김동희 어린이의 비극을 막기 위해 응급의료기관이 응급환자 수용 능력 확인 요청을 받은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 또는 기피할 수 없도록 했다. 이후 복지부는 지난해 17개 시도에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 표준지침'과 '응급환자 이송지침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지침 마련을 주문했다. 복지부의 지침엔 응급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