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꽃구경·산행 전후 식사-음주 자제…백신휴가 실무논의중"

내일 누적 확진자 10만명 넘을 듯…1주간 일평균 지역발생 411명

 정부는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유행이 정체상태에서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24일 정례 브리핑에서 최근 상황에 대해 "'3차 유행'이 안정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감소하지도, 증가하지도 않는 정체 상태가 8주 이상 계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최근 신규 확진자는 연일 400명 안팎을 오르내리고 있다.

 이달 18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1주일간 해외유입을 제외한 지역발생 확진자는 하루 평균 411.1명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기준상 2.5단계(전국 400∼500명 이상)에 해당한다. 수도권의 경우 일평균 289.4명에 달해 300명에 육박한 수준이고, 비수도권에서는 경남권(52.9명)을 중심으로 확산세가 이어지며 일평균 121.7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25일 0시 기준으로 발표될 누적 확진자는 1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월 20일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 약 1년 2개월 만이다.

 윤 반장은 이와 관련해 "현재 추세라면 내일쯤 되면 10만명을 넘어설 것 같다"면서 "10만명이라는 숫자 자체에는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지만, 현재 3차 유행이 지속해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어떻게 안정화시킬 것인지가 방역당국의 큰 고민"이라며 "현재 수도권의 특별방역대책 등을 통해 관리하고 있는데 환자 수를 조금 더 안정화하기 위한 조처를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말 이동량 추이 분석

 방역당국은 거리두기 등 잇단 방역조처에도 이동량 변화가 크지 않은 점을 우려하고 있다.

 중수본이 지난 주말(3.20∼21) 휴대전화 이동량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 3천247만건, 비수도권 3천191만건 등 총 6천438만건으로 집계됐다.

 직전 주말(3.13∼14)보다 줄었으나 한 자릿수 감소율에 그쳤다. 수도권은 3.9%(135만건), 비수도권은 5.8%(199만건) 각각 감소했다.

 윤 반장은 "완연한 봄 날씨가 이어지면서 봄철 꽃 구경과 산행이 많아지고 있는데 꽃 구경과 산행을 전후해 식사나 다과, 음주를 위해 마스크를 벗게 되면 감염의 위험이 높아진다"며 "대화를 할 때는 가능한 마스크를 착용하고 많은 사람이 모인 곳에서 식사, 다과, 음주를 자제해달라. 코로나19가 다시 확산하지 않도록 일상생활 곳곳에서 방역 관리에 더욱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맞은 사람에게 하루이틀 정도의 휴가를 주는 이른바 '백신 휴가' 도입과 관련해 현재 관계부처와 실무 논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윤 반장은 관련 질문에 "현재 논의하고 있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 보고를 한 다음에 최종적으로 결정을 하는 것"이라면서 "(백신 휴가) 강력 권고라든지, 금전으로 보상하지 않는다든지 등의 내용은 실제로 확정된 내용이 아니다. 실무적으로 현재 논의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팬데믹 문턱에 선 조류인플루엔자…반려동물 감염 주목해야"
조류인플루엔자(AI)의 이종(異種) 간 감염이 증가하면 사람에게 전파되기 쉬운 바이러스 변이가 발생해 코로나19에 이은 팬데믹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남중 서울의대 감염내과 교수는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의기협)와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원장 강원택)이 1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서 개최한 '조류인플루엔자의 팬데믹 위험성과 대응 전략' 포럼에서 조류인플루엔자의 종간 전파 위험성을 이같이 진단하고 팬데믹 발생 대비를 서둘러야 한다고 밝혔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고병원성과 저병원성으로 구분된다. 이중 인체에 감염되는 건 고병원성인 H5N1형이다. H5N1형은 1959년 처음 발견된 이후 가금류와 야생조류를 중심으로 확산해왔지만, 최근 들어 포유류와 사람에게 전파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H5N1형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젖소, 고양이, 양, 개 등으로 옮겨간 사례가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영국과 멕시코 등지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인체 감염 사례가 추가로 확인됐다. 김남중 교수는 "조류인플루엔자가 가금류와 야생조류에서 포유류로 종간 장벽을 넘어서는 '스필오버'(spillover) 현상과 포유류에서

메디칼산업

더보기
작년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지정 2곳뿐…역대 최저
작년 의료기기 임상시험 기관으로 지정된 의료기관이 2곳에 불과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작년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으로 지정된 곳은 숭인의료재단 김해복음병원과 동강의료재단 동강병원 2곳에 그쳤다. 작년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지정 건수는 전년 9건에 비해 22.2%에 불과한 수준이다. 의료기기법상 임상시험을 위한 시설, 인력, 기구를 갖춘 의료기관을 임상시험기관으로 지정할 수 있다. 식약처는 2007년 임상시험의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안전하고 과학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지정 제도를 도입했다. 2007년 3월 2일 서울대 치과병원이 제1호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으로 지정된 것을 시작으로 한 해 동안 연세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고려대 의과대학부속 구로병원 등 모두 38개 기관이 지정됐다. 2008년 17곳이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으로 지정된 이후 2013년까지 매년 10곳 이상 지정됐다가 2014년부터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2020년 10곳이 지정되며 반짝 두 자릿수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이후로는 한 자릿수를 유지했고 작년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서는 은성의료재단 좋은강안병원이 지난 7일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