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 싹틀 때 독(毒)이 되는 면역세포 발견

'장기 활성' 노화 소교세포, 독성 아밀로이드 침적 촉진
가속 페달 밟는 '세포 무리'도 확인…저널 '셀 리포트' 논문

 치매는 주로 알츠하이머병에서 생긴다.

 지역과 인종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치매 진단 환자의 50~75%는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다.

 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치매는 세계 보건 의료계의 주요 이슈로 부상한 지 오래다.

 영국의 경우 현재 약 85만 명인 치매 환자가 2040년에는 160만 명이 될 거로 예상된다.

 알츠하이머병은 오랜 세월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 따라서 이제 막 생긴 초기 단계에 진단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알츠하이머병은 아직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다. 발병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는 건 물론이고 진행 속도를 늦추는 치료도 어렵다.

 많은 과학자가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진단에 주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발생 초기에 뇌 조직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뇌의 면역세포인 소교세포(microglia)가 일부 노화해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진행을 가속한다는 게 요지다.

 '신경아교세포'라고도 하는 소교세포는 중추 신경계 조직을 지지하면서 뇌와 척수의 신경세포(뉴런)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고, 노폐물 등을 제거하는 식세포 작용도 한다.

 영국 사우샘프턴 대학의 디에고 고메스-니콜라 생물과학 부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8일(현지 시각) 생명과학 저널 '셀 리포트(Cell Reports)'에 논문으로 실렸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고메스-니콜라 교수는 "알츠하이머병은 수십 년에 걸쳐 진행되는데 우리는 초기 단계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잘 모른다"라고 토로했다.

 치매의 진행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뇌 조직에 쌓이면 소교세포가 제일 먼저 반응해 증식한다. 연구팀은 이 사실을 알고 있었다.

 외부 단백질의 작용을 억제하는 이런 반응은 면역세포로서 소교세포가 수행하는 기능 중 하나다.

 이처럼 소교세포가 아밀로이드 단백질과 지속해서 접촉하면, 치매의 진행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가 소교세포에 생길 수도 있다고 연구팀은 추론했다.

 그런데 당연한 것 같았던 소교세포의 증식이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진행에 결정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유사 알츠하이머병'을 가진 생쥐 모델에 실험해, 소교세포를 계속 활성 상태로 두면 그중 일부가 노화 상태로 변한다는 걸 알아냈다.

 이 소교세포 무리는 노화로 인한 대사 기능 장애와 염증성 기능 장애를 보였다.

 뜻밖에도 알츠하이머병 초기에 독성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축적을 가속하는 게 바로 이 소교세포 무리였다.

 이는 알츠하이머병 사망 환자의 사후 검시 샘플 분석에서도 검증됐다.

 반대로 생쥐 모델의 소교세포가 증식을 멈추면, 관련 소교세포 무리의 노화 속도가 떨어지고 독성 아밀로이드 수치도 낮아졌다.

 고메스-니콜라 교수는 "(아밀로이드 축적에 반응하는) 소교세포 증식의 장기적인 결과와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에 미치는 충격을 확인한 건 처음"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더 나아가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가속에 관여하는 작은 소교세포 그룹을 정확히 확인하는 데도 성공했다.

 당연한 일이지만, 이 발견은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늦추는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함의를 가질 거로 과학자들은 평가한다.

 알츠하이머병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해 더 많은 통찰을 갖게 될 뿐 아니라, 노화 소교세포 그룹을 표적으로 삼아 알츠하이머병 연구와 치료제 개발 노력을 집중할 거라는 얘기다.

 고메스-니콜라 교수는 "이런 것들이 모여 알츠하이머병 치료법 연구의 결정적 돌파구를 더 빨리 찾게 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