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힌 심장에 대체혈관 내는 '관상동맥우회술' 1등급 병원 75곳

복지부 7차 적정성 평가 결과…심평원 홈페이지 등에 공개

 강북삼성병원, 건국대 병원 등 75개 병원이 '관상동맥우회술'을 잘하는 1등급 의료기관에 선정됐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관상동맥우회술 7차 적정성 평가 결과를 심평원 홈페이지와 이동통신 앱(건강정보)을 통해 공개했다고 25일 밝혔다.

 관상동맥우회술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혔을 경우 혈액이 다른 쪽으로 통할 수 있도록 대체 혈관을 만드는 수술이다.

 복지부와 심평원은 2019년 7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게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종합병원 이상 85개 기관을 평가했다. 허혈성 심질환은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생기는 질환으로 협심증, 심근경색증이 대표적이다.

 주요 평가 내용은 ▲ 관상동맥우회술 수술 건수 ▲ 수술 시 내흉동맥 사용 비율▲ 퇴원 시 아스피린 처방률 ▲ 수술 후 합병증(출혈, 혈종)으로 인한 재수술 비율 ▲ 수술 후 30일 내 사망률 ▲ 퇴원 30일 내 재입원율 등 6개다.

 평가 결과, 종합점수 전체 평균은 94.7점으로 6차 평가 평균 94.2점보다 0.5점 올랐다. 1등급 기관은 75개 기관으로 6차 때 66개 기관보다 9개 기관이 늘었다.

 1등급 기관 상당수는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강북삼성병원, 건국대 병원 등 25개 기관은 서울에 있으며, 고려대 의대 부속 안산 병원, 분당 서울대 병원 등 17개 기관은 경기에,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인하대 부속 병원 등 5개 기관은 인천에 있어 총 47개 기관이 수도권에 있다.

 이 밖에 경북대병원, 인제대 부산백병원 등 경상권에 17개가 있고 전라권 4개, 강원권 3개, 충청·제주 각 2개 등이다.

 조사 기관을 대상으로 보면 관상동맥우회술 수술 건수는 3천743건으로 5차 평가 때 보다 124건 늘었다. 수술 이후 생존율이 높은 내흉동맥 이용 수술률은 99.6%, 퇴원 시 아스피린 처방률은 99.7%였다. 수술 뒤 합병증으로 인한 재수술률은 2.5%로 6차 평가 결과보다 0.3%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수술 후 30일 내 사망률은 2.4%, 퇴원 30일 내 재입원율은 11.4%로 6차 평가 때보다 각각 1.0%포인트, 0.7%포인트 하락했다.

 이번 평가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환자를 성별로 보면 남성이 76.6%로 여성(23.4%)과 비교해 3.3배 많았다.

 연령대로는 60대가 36.7%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70대(30.5%), 50대(19.4%), 80대 이상(7.1%), 40대(5.0%), 30대 이하(1.2%) 순이었다.

 2019년 기준 심장질환은 암에 이어 사망원인 2위로, 그 중 허혈성 심질환 환자 수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허혈성 심질환자는 2016년 89만명에서 지난해 101만명으로 늘었으며, 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는 26.7명이다.

 조미현 심평원 평가실장은 "고난도 심장 수술인 관상동맥우회술을 잘하는 기관이 증가하고, 권역별로 있다"며 "빠른 치료가 중요한 허혈성 심질환의 증상 발생 시 신속하게 우리 지역의 가까운 우수 병원을 방문해 치료받는 데 이번 평가 결과가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전자담배 유해성 알리는 금연광고…"이래도 '전담'하시겠습니까"
어린 자녀의 픽업을 전담하는 자상한 아빠. 그러나 아이들과 함께 타는 차 안에서 내뿜은 전자담배 '에어로졸'엔 니코틴 등 각종 유해 물질이 가득하다.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전자담배 에어로졸을 소재로 한 올해 두 번째 금연 광고 '이래도, 전담(전자담배)하시겠습니까'를 9월 1일부터 다양한 매체를 통해 송출한다고 31일 밝혔다. 지난 4월 1차 금연 광고에 이어 이번에도 담배 규제의 사각지대에 있는 전자담배의 유해성을 알리는 데 광고의 초점이 맞춰졌다. 아이 픽업을 전담하는 아빠와 친구 모임에서 분위기메이커를 전담하는 대학생을 주인공으로 한 두 편의 광고에는 모두 "전자담배 연기는 단순 수증기가 아닌 초미세입자로 구성된 에어로졸로, 니코틴은 물론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금속, 각종 발암물질 등을 포함하고 있다"는 자막이 등장한다. 애정과 선의를 갖고 주변을 챙기는 이들이지만, 안일하게 내뿜은 전자담배 에어로졸로 소중한 사람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공기 중 부유하는 매우 작은 입자인 에어로졸은 인체의 호흡기로 흡입돼 세포 독성, 산화 스트레스, 염증 지표 증가 등을 통해 호흡기·심혈관계 질환과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복지부는 설명

메디칼산업

더보기
희귀질환자 눈물닦는다…신약 고속도로 열고 의료비부담 낮춰
수억 원에 달하는 약값과 기약 없는 기다림에 지쳐있던 희귀·난치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의 빛이 비치고 있다. 정부가 환자들의 오랜 염원에 응답하며 신약의 건강보험 적용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의료비 부담을 대폭 완화하는 국가책임 강화 방안의 청사진을 공개했다. 이는 단순히 비용을 지원하는 차원을 넘어, 환자들이 적시에 최상의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 신약 등재 기간 90일 단축…'고속도로' 열린다 보건복지부와 국정기획위원회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는 희귀중증 질환자의 치료비 부담 완화를 국정과제로 추진하는데, 여기서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신약의 신속한 건강보험 등재를 위한 '고속도로'가 깔린다는 점이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평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약가 협상으로 이어지는 단계별 절차는 환자들에게 너무나 긴 시간이었다. 정부는 이 세 가지 절차를 동시에 진행하는 '허가-평가-협상 연계 시범사업'을 본사업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해 신약이 환자에게 도달하는 시간을 최대 90일까지 단축할 계획이다. 생사의 갈림길에서 하루가 급한 환자들에게 이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시간이다. ◇ 소득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