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실 초미세먼지, 근무 능력 떨어뜨려"

 회사 사무실의 공기 중 초미세 먼지가 근무자들의 근무 속도와 능력을 떨어뜨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초미세 먼지란 차량, 발전소 등의 화석연료 연소에서 배출되는 인간 머리카락보다 30배 작은 직경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고체 또는 액체 비말을 말한다.

 미국 하버드 대학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의 조세 라우렌트 교수 연구팀은 사무실의 초미세 먼지 농도가 올라가면 근무자들의 근무 반응시간과 정확도가 둔화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중국, 인도, 멕시코, 태국, 영국, 미국의 여러 도시에서 사무실 근무자 총 300여 명(18~65세)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들은 정해진 사무실에서 1주일에 최소한 3일 이상 근무하고 있었다.

 연구팀은 각 사무실에 환경 센서를 설치하고 초미세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기온,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를 측정했다.

 이와 함께 근무자들에게는 특수 제작된 앱을 스마트폰에 설치하게 하고 이를 통해 인지기능 테스트를 진행했다.

 인지기능 테스트는 미리 정해진 시간과 초미세 먼지와 이산화탄소 수치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거나 하회할 때 시행됐다.

 인지기능 테스트는 2가지로 하나는 업무와 관련이 없는 어떤 것이 제시됐을 때 인지능력 속도와 업무에 집중하는 능력, 또 하나는 기본적인 수학 문제를 푸는 속도와 작업기억(working memory)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작업 기억이란 뇌로 들어온 여러 가지 정보를 한꺼번에 저장해 두고 필요할 때 꺼내 사용하는 능력, 즉 단기 기억을 말한다.

 그 결과 초미세 먼지와 이산화탄소 수치가 올라갔을 땐 인지능력의 속도가 느리고 정확도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문제 풀이도 틀리는 게 많았다.

 초미세 먼지 농도가 올라갔을 때 인지기능이 떨어지는 이유는 염증 때문일 것으로 연구팀은 추측했다.

 초미세 먼지는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를 통과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혈뇌장벽은 특정 혈관 벽에 특수 세포와 물질들이 밀집해 마치 '지퍼'(zipper)처럼 단단하게 조여진 곳으로 중요한 영양소만 선택적으로 뇌로 들여보내고 해로운 물질은 차단하는 한편 뇌의 노폐물을 내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무실 안의 공기 오염은 대부분 외기 오염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창문을 여는 것으로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공기 오염이 심한 도시의 경우, 여과(filtration) 성능이 매우 강력한 기계 환기장치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초미세 먼지에 장기간 노출된 노인은 알츠하이머 치매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평균연령 33세의 젊은 사람들도 근무하는 사무실 초미세 먼지 밀도가 올라가면 인지기능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이 연구 결과는 보여주고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환경과학 전문지 '환경 연구회보'(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美FDA, 코로나19 백신접종 대상 '65세 이상·고위험군' 제한 추진
미국 보건·의약당국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을 65세 이상 노령층과 고위험군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미 언론이 21일(현지시간) 전했다. 블룸버그 통신과 미 ABC 방송 등에 따르면 식품의약청(FDA)은 향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65세 이상 또는 기저 질환을 가진 사람들로 제한하기로 하는 계획을 전날 발표했다. 또 FDA의 마틴 마카리 청장과 백신 책임자 비나이 프라사드 박사는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발표한 글에서 건강한 성인과 어린이·청소년에 대한 코로나19 백신은 제약사들이 장기 위약 대조군에 대한 대규모 임상시험을 하지 않을 경우 승인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미 언론은 이런 백신 규제 방침이 제약사들의 비용 부담을 크게 늘려 새로운 백신 개발에 장벽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몇 년간 코로나19 백신은 변종을 거듭해 왔기 때문에 제약사들은 호흡기 바이러스에 취약한 겨울철을 앞두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백신을 업데이트해왔다. 하지만 FDA 측은 젊고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의 경우 위험 대비 효과가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화이자와 모더나 등 제약사들은 코로나19 백신에 관해 FDA와 논의를 진행 중이라면서 젊

메디칼산업

더보기
중기부, 제약바이오벤처 자문단 출범…"급변하는 시장 대응"
중소벤처기업부는 제약바이오 산업 특성을 고려한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 '제약바이오벤처 자문단'을 출범했다고 밝혔다. 자문단은 제약바이오 기업인과 유관 협회·단체, 중견 제약사, 벤처캐피탈(VC) 등 제약바이오 생태계 핵심 주체들 12명으로 구성했다. 자문단은 급변하는 세계 시장 환경과 기술 트렌드에 대응해 국내 제약바이오 벤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현장 수요에 맞게 전문적인 정책제언을 담당한다. 분기별로 자문위원이 제약바이오벤처 육성정책 방향을 설정하면 월별로 자문위원들이 추천한 실무위원들이 정책기획 방향에 따른 지원정책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구체화한 방안은 다음번 자문단 회의에서 점검해 정책을 빈틈없이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중기부는 지난 19일 대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자문단 첫 회의를 열고 자문단 운영계획과 제약바이오 중소벤처 육성정책 추진현황, 현장 애로사항 등에 대해 논의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제약바이오 분야는 개별 기업의 자금 지원만으로는 부족하고 다양한 생태계 구성원 간 협력이 필요하다"며 "자문단의 다양한 제언을 바탕으로 제약바이오벤처 육성정책을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