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 안 떨어질 땐 용량 올리는 것보다 다른 혈압약 추가가 유리"

 혈압약으로 고혈압이 잘 조절되는 경우는 전체 환자의 24%에 불과하다. 혈압이 잘 떨어지지 않을 땐 먹고 있는 혈압약의 용량을 높이거나 다른 혈압약 한 가지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어떤 것이 최선의 방법일까?

 이 때는 혈압약의 용량을 올리는 것보다는 새 혈압약을 추가하는 것이 효과가 좀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베른 대학병원 내과 전문의 카롤 오베르 교수 연구팀이 현재 먹고 있는 혈압약으로 혈압이 잘 떨어지지 않아 치료를 강화해야 하는 환자 17만8천562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 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5일 보도했다.

 이들 중 다른 혈압약을 추가해 복용한 환자들이 현재 먹고 있는 혈압약의 용량을 높여 복용한 환자들보다 혈압이 조금 더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혈압약을 한 가지 더 추가한 환자들은 1년 후 최고 혈압인 수축기 혈압이 전보다 5.6mmHg 떨어졌다.

 이에 비해 복용 중인 혈압약의 용량을 최고 한도까지 올려 복용한 환자들은 수축기 혈압이 4.5mmHg 낮아졌다.

 그러나 강화된 치료를 3개월 후까지 견뎌낸 환자의 비율은 혈압약이 추가된 환자가 49.8%로 용량이 높아진 환자의 65%보다 훨씬 낮았다.

 이는 예상했던 결과로 혈압약을 추가한 것이 용량을 올린 것보다 새로운 부작용과 약물 상호작용이 더 심했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프랑스 파리 공립병원(Assistance Publique-Hôpitaux de Paris) 내과 전문의 올리비에 스테셍 교수는 고혈압 치료 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는 지체 없이 이 두 가지 방법 중 환자가 현재 받고 있는 치료와 임상 상태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내과학회 학술지 '내과학 회보'(Annals of Internal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비마약성 진통제 시대 개막…비보존, 국산신약 어나프라주 출시
비보존제약이 제38호 국산신약으로 개발한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를 국내 출시했다. 비보존제약은 지난 10일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어나프라주의 본격적인 출시를 기념하기 위한 출정식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행사는 캘리그라피 퍼포먼스를 시작으로 장부환 비보존제약 대표이사의 환영사, 개발자인 이두현 비보존그룹 회장의 감사 인사, 신약 비전 선포식, 어나프라주 출정식 순서로 진행됐다. 어나프라주는 수술 후 중등도에서 중증의 급성통증 조절에 사용하는 비마약성 진통 주사제로, 지난해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 마약성 진통제의 오·남용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며 어나프라주는 부작용이 적은 통증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전영태 대한마취통증의학회장은 축사를 통해 "마약성 진통제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진통제가 절실한 상황에 어나프라주의 국내 출시는 매우 반가운 일"이라며 "학회도 앞으로 어나프라주가 더 많은 환자에게 도움이 되고 국내외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응원하겠다"고 말했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비마약성 진통제 신약 개발은 수많은 글로벌 빅파마들조차도 넘기 어려운 도전 과제로 여겨졌으나 비보존제약이 독자적인 기술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