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공중보건 전문가, 슈퍼서 담배 퇴출 촉구…"석면처럼 퇴출해야"

 호주의 공중보건 전문가들이 건강에 해로운 담배를 '안전하지 못한 상품'으로 규정해 슈퍼마켓에서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정부에 촉구하고 나섰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14일(현지시간) 호주 공중보건 전문가들이 담배 판매 중단을 석면과 납 페인트 시장 퇴출에 비유하며 정부에 슈퍼마켓 같은 소매점의 담배 판매 중단 날짜를 정할 것과 담배소비세를 대신할 세수 개발에 나설 것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또 호주의학저널(MJA)에 따르면 빅토리아주 암위원회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52.8%가 소매점에서의 담배 판매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데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퀸즐랜드대학 담배정책 전문가인 코럴 가트너 교수는 MJA에 발표한 별도의 글에서 "담배는 현대의 소비재 상품 안전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며 "담배의 소비재 지위를 인정하는 규제 예외주의에서 빨리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정부가 오염된 식품, 석면, 납 페인트 등을 시장에서 퇴출하는 것은 정상적인 것"이라며 세계무역기구(WTO)가 호주 정부의 '플레인 패키징'을 인정한 것은 담배 규제가 상업적 이익을 저해하고 국제 무역에 영향을 미치더라도 정부가 국민 건강을 위해 도입할 권리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플레인 패키징은 담배 포장에 담배 회사 로고 대신 흡연으로 인한 질병 사진과 경고 문구를 쓰게 한 포장 방식으로 호주가 이를 도입하자 담배 원료 수출국인 온두라스와 도미니카공화국이 WTO에 제소했으나 WTO는 공중보건을 위한 합법적 수단이라며 호주의 손을 들어줬다.

 가트너 교수는 또 플레인 패키징 때문에 호주가 담배 규제에서 세계 선도국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네덜란드는 2024년 슈퍼마켓 담배 판매 금지 법을 통과시켰고 뉴질랜드도 담배 판매점 대폭 축소 등 새로운 규제를 제안하고 있다며 호주가 오히려 다른 나라에 뒤처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호주 연방 보건부 대변인은 이에 대해 담배 소매 판매에 대한 결정은 주 정부 권한이라며 "정부는 지방 정부와 계속 협력하며 담배 공급과 수요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호주에서는 1960∼2020년 흡연으로 인한 사망자가 128만 명에 이르는 등 흡연은 조기 사망과 장애의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정부는 2030년까지 흡연율을 5% 아래로 낮춘다는 보건 전략을 세웠으나 전문가들은 담배업계의 자율규제와 자발적 조치만으로는 이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 로 보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일부 사직 전공의들 "9월 복귀 원해…대전협 무책임에 질렸다"
여전히 수련병원으로 돌아오지 않은 사직 전공의들 사이에서 9월 복귀를 희망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들은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집행부의 무책임을 비판하며 정원 보장, 입대·전문의 시험 일정 조정 등의 복귀를 위한 요구사항도 제시했다. 18일 의료계에 따르면 복귀를 원하는 사직 전공의 200여명은 단체 채팅방을 만들어 뜻을 모은 후 이 같은 메시지를 서울시의사회에 전달했다. 전공의들은 "최근 대전협의 기조와 달리 복귀를 희망하는 많은 전공의가 존재한다는 점을 알리고자 한다"며 "지난 5월 추가 모집에서 '정권이 교체된다면 의정 간 새로운 대화가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와 '아직 돌아갈 때가 아니'라는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의 공지 때문에 미복귀를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새 정부가 들어섰음에도 우리의 목소리를 대변해야 할 대한의사협회(의협)와 대전협은 충분한 의견 수렴 없이 사태를 방관하고 있다. 의협이 민주당과 만났다고는 하지만 구체적인 협상안을 제시하기는커녕 장·차관 인선 이후로 협상을 미루는 등 현재 상황의 시의성과 대조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대전협은 이 회의에 참석하지도 않았으며 모집에 응하지 말라는 공지 이후에는 침묵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모바일게임으로 자폐청소년 사회성 개선…디지털치료 효과확인"
모바일 게임 형태의 디지털 치료가 자폐스펙트럼장애나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를 가진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유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유재현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최태영 대구가톨릭대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모바일 게임으로 만든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는 2023년 8월부터 11월 사이 삼성서울병원, 서울성모병원, 대구가톨릭대의료원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또는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를 진단받은 10∼18세 청소년 38명을 대상으로 수행됐다. 연구팀은 이들을 약물·심리치료 등 기존 방식으로 치료받은 19명과 기존 방식에 모바일 게임 훈련을 병행한 19명으로 나눠 6주간 관찰했다. 모바일 게임 훈련은 뉴다이브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사회적 의사소통 장애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해 개발한 'NDTx-0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했다. 이 프로그램은 학교에서 주로 접하는 다양한 상황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게임을 하듯 임무를 수행하며 문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됐다. 예컨대 친구와의 첫 만남을 가정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적절한 반응을 선택하게 해 대화를 이어가는 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