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몸 떨림 진정시키는 휴대용 장치 개발"

 중추신경계 질환인 파킨슨병의 몸 떨림 증상을 진정시킬 수 있는 휴대용 장치가 개발됐다.

 미국 마운트 시나이 헬스 시스템(Mount Sinai Health System)의 재활혁신실장 데이비드 푸트리노 박사는 팔목 또는 발목에 착용할 수 있는 파킨슨병의 안정 시 몸 떨림(resting tremor) 진정 장치를 개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2일 보도했다.

 안정 시 몸 떨림이란 파킨슨병 환자에게 나타나는 특이한 진전으로 손을 무릎에 놓고 쉬고 있을 때처럼 근육이 이완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떨림을 말한다. 몸을 움직이고 있을 때와 잠잘 때는 몸 떨림이 덜하다.

 크기와 무게가 스마트 워치와 비슷한 이 장치는 진동 펄스(vibrating pulse)를 통해 환자의 몸 떨림과 대립되는 메시지(competing message)를 뇌에 보낸다고 푸트리노 박사는 밝혔다.

 몸 떨림을 일으킨 비정상적인 리듬을 교란하는 신호를 뇌에 보내는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푸트리노 박사는 파킨슨병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이들에게 팔목 또는 발목에 이 장치를 착용하게 하고 두 가지 패턴의 진통 펄스를 일으켜 뇌에 보냈다.

 그 결과 환자 대부분이 몸 떨림이 줄어들었다. 기분이 좋았다는 환자도 있었다.

 이는 팔목이나 발목을 통해 비정상 공시성(abnormal synchronicity)을 무너뜨리는 대립 메시지를 보내면 몸 떨림을 차단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푸트리노 박사는 말했다.

 공시성이란 심리학 용어로 같은 시간대에 함께 벌어지는 묘한 상황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세다스-시나이(Cedars-Sinai) 메디컬센터 운동장애 실장 미셀 탈리아티 박사는 파킨슨병 환자의 몸 떨림을 치료할 수 있는 완벽한 방법은 현재 없다면서 침습적인 방법인 심부뇌자극술(DBS: deep brain stimulation)이 효과가 뛰어나지만 모든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고 치료제인 레보도파도 항상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새로 개발된 이 장치는 파킨슨병의 몸 떨림을 통제할 수 있는 비침습적 방법이지만 효과 확인을 위해서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논평했다.

 파킨슨병은 운동을 조절하는 뇌 부위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dopamine) 생산 세포가 소실되면서 근육 경직, 몸 떨림, 느린 동작 같은 운동장애가 나타나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

 이 연구 결과는 신경과학 전문지 '첨단 인간 신경과학'(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1일 수련 재개로 상당수 현장으로 복귀하면서 환자들은 환영의 뜻과 함께 기대감을 나타냈다. 1일 오전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은 '의료대란' 당시와 다를 바 없이 북적였지만, 전공의처럼 보이는 의사 가운을 입은 청년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어 차이가 있었다. 서울대병원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 예방을 위해 병원 내 촬영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병원 곳곳에 비치된 채 의정 갈등 사태의 흔적으로 남은 가운데, 흰 가운의 젊은 의사들이 바쁜 발걸음을 재촉했다.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도 안정세를 찾은 분위기였다. 의료진은 각자 진료나 수술을 위해 바삐 걸음을 옮기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다만 이들은 전공의 복귀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손사래를 치는 등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환자들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병원에서 만난 환자들은 전공의 복귀를 환영하며 기대감과 안도감을 드러냈다. 서울대병원에서 아들의 신장 이식 수술을 기다리는 중이라는 한 어머니는 "이식을 받기 위해 7월 초부터 입원해서 기다리고 있다"며 "수술받을 사람이 많아서 대기 중인데 전공의가 복귀하면 더 빨라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