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머티즘 관절염 신약 '젤잔즈', 심혈관질환·암 위험 높일 수 있다"

 류머티즘 관절염 신약인 야누스 키나제 억제제(JAK inhibitor) 계열의 젤잔즈(성분명: 토파시티닙)가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과 암 위험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새로운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류머티즘 관절염은 노인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과는 달리 면역세포의 일종인 T세포가 팔목, 손가락, 발가락, 발목, 무릎 등 신체의 관절이 있는 부위를 공격해 발생하는 일종의 자가면역 질환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의 류머티즘 전문의 스티븐 이터버그 박사 연구팀이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 약 4천400명(50세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임상시험 참가들은 고혈압, 당뇨병 등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을 최소한 한 가지 이상 가지고 있었고 류머티즘 관절염 표준 치료제인 메토트렉세이트가 잘 듣지 않는 환자들이었다.

 연구팀은 이들에게 JAK 억제제 계열의 토파시티닙 또는 종양괴사 인자(TNF: tumor necrosis factor) 차단제를 4년여에 걸쳐 투여했다.

 임상시험 기간에 토파시티닙 그룹에서는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이 TNF 차단제 그룹보다 30% 이상 더 많이 발생했다.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 원인으로 사망한 사람은 토파시티닙 그룹이 3.4%, TNF 차단제 그룹이 2.5%였다.

 한편 암 발생률도 토파시티닙 그룹이 TNF 차단제 그룹보다 48% 높았다. 토파시티닙 그룹에서는 4%, TNF 차단제 그룹에서는 3%가 암이 발생했다.

 이  임상시험 결과에 따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토파시티닙 그리고 같은 JAK 억제제 계열의 바리시티닙(제품명: 올루미안트)과 우파다시티닙(린버크)에 대해 모두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부작용을 복약 설명서에서 경고 사항으로 추가하도록 했다.

 FDA는 이와 함께 환자에게 먼저 TNF 차단제를 투여해 보고 효과가 없을 때에 한해 JAK 억제제를 처방하도록 권고했다.

 JAK 역제제나 TNF 차단제나 둘 다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약인데 이러한 부작용 차이가 나는 이유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면역체계의 서로 다른 부분을 표적으로 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제로는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부위에 작용해 관절 손상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약들이 많이 사용된다.

 TNF 차단제는 그중 하나로 에타네르셉트(제품명: 엔브렐), 아달리무맙(휴미라) 등이 있다.

 JAK 억제제는 비교적 새로운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제로 주사제인 TNF 차단제와는 달리 경구로 투여한다.

 이 치료제들은 모두 면역체계의 한 부분에 제동을 걸기 때문에 감염에 취약하게 된다.

 TNF 차단제는 림프종, 피부암 같은 일부 암 위험을 약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임상시험 결과에 대해 정형외과 수술과 류머티즘 질환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뉴욕 특별 외과 병원(Hospital for Special Surgery)의 루이스 브리지스 박사는 치료제 선택에 앞서 환자 개인의 심혈관 질환 또는 암 위험요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논평했다.

 주사제보다 경구 투여를 원하는지를 포함한 환자 개인의 선호도 중요하다고 그는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의 의학 전문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난임부부 체외수정시술 건강보험 급여 20회로 확대
이달부터 난임 부부의 체외수정 시술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 적용 횟수가 20회로 확대됐다. 시술 시 배아 종류를 구분해 지원했던 칸막이도 폐지했다. 보건복지부는 2일 아이를 기다리는 난임 부부와 '대한민국의 미래를 찾아가는 대화, 패밀리스토밍' 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정책 내용을 공유했다. 그간 건보 급여가 적용된 체외수정 시술은 신선배아 9회, 동결배아 7회 등 총 16회였는데 배아 종류 구분을 없애고, 시술 횟수도 4회 더 늘렸다. 이로써 이달부터 신선배아와 동결배아 구분 없이 총 20회에 대한 체외수정 시술에 건보 급여가 적용된다. 인공수정에 대한 건보 급여는 기존대로 5회 적용된다. 이와 함께 올해부터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소득 기준이 폐지돼 더 많은 부부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날 간담회에 참가한 난임 부부는 난임 진단과 시술 과정에서의 신체적·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임신에 성공하더라도 출산을 준비하는 과정도 만만치 않다는 현장의 이야기를 전했다. 복지부는 이들의 이야기를 경청한 뒤 향후 정책을 마련하는 데 현장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고 약속했다. 이기일 복지부 제1차관은 "앞으로도 긴밀한 현장 소통을 통해 간절히 아이를 원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신장기능 주요지표 '사구체 여과율' 저하, 측정 방법 따라 예후 차이"
신장 기능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인 사구체 여과율(eGFR)이 낮게 나타난 노인은 어떤 방법으로 여과율을 측정했느냐에 따라 예후에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신장이 1분 동안 깨끗하게 걸러주는 혈액의 양(정상 90~120ml)인 사구체 여과율은 근육에서 생성되는 노폐물로 신장을 통해 배출되는 크레아티닌의 혈중 수치를 근거로 측정된다. 그러나 크레아티닌 혈중 수치는 연령, 성별, 근육량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초기 단계의 신장 기능 저하 지표로는 부정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크레아티닌처럼 신장을 통해 배출되는 단백질인 시스타틴C의 혈중 수치가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시스타틴C는 비당화 단백질로 세포에서 항상 생성돼 일정량이 유지되며 신장을 통해서만 배출된다. 혈중 시스타틴C의 증가는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를 나타내기 때문에 크레아티닌보다는 예민하게 사구체 여과율을 추적할 수 있다. 스웨덴 카로린스카 의과대학 의료역학·생물통계학과의 에두아르드 푸 교수 연구팀은 크레아티닌과 시스타틴C의 혈중 수치를 근거로 측정한 사구체 여과율이 낮게 나온 노인은 크레아티닌 혈중 수치만을 근거로 측정한 사구체 여과율이 낮게 나온 노인보다 예후가 나쁘다는 연

메디칼산업

더보기
유방암치료제 '엔허투', 급여적정성 인정…건보적용 관문 통과
유방암 치료제 엔허투가 건강보험 적용을 위한 관문을 통과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급여평가위원회는 1일 열린 심의에서 한국다이이찌산쿄의 유방암·위암 등 항암 주사제 엔허투주100mg(트라스투주맙데룩스테칸)가 급여 적정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엔허투는 HER2(사람 상피세포 증식인자 수용체 2형) 양성 유방암, HER2 양성 위 또는 위식도 접합부 선암종에 대해 효능을 인정받았다. 엔허투는 일본 제약사 다이이찌산쿄와 영국 아스트라제네카가 함께 개발한 신약이다. 작년 국민청원 홈페이지에 "내성으로 다른 선택지가 없는 환자들을 위해 (엔허투) 정식 도입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속도를 내달라"는 요청이 올라오고 이에 5만여 명이 동의하면서 주목받은 바 있다. 엔허투는 앞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과의 약가 협상,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건강보험 적용을 받게 된다. 한편 이날 약제급여평가위는 희귀질병인 유전재발열증후군 치료제인 한국노바티스의 일라리스주사액(카나키누맙, 유전자재조합)에 대해 크리오피린 관련 주기적 증후군(CAPS), 종양괴사인자 수용체 관련 주기적 증후군(TRAPS), 가족성 지중해 열(FMF) 등에 대한 효능을 인정해 급여 적정성이 있다는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