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0일 조간)

▲ 경향신문 = 만시지탄 김혜경씨의 사과, 수사 협조로 진정성 보여야

특정 검사장 거론하며 문재인 정부 적폐 수사 공언한 윤석열

확진자 5만 속 방역 대전환, 시민 불안 해소가 관건이다

▲ 국민일보 = 수시로 바뀌는 책상머리 방역 지침, 현장 혼란 부추긴다

성남FC 후원금 의혹 수사 특임검사 임명해야

편파 판정 원인이 '삼성'…안민석의 황당한 논리

▲ 서울신문 = 본격화한 美 한국 인재 확보, 민관 대응 시급하다

편파 판정 반중 정서, 선거 이용 경계해야

'셀프 치료', 검사·진단 빈틈 줄여야 성공한다

▲ 세계일보 = 확진 폭증에 자가격리자 추적 중단, '방역 자포자기' 아닌가

대선 후보가 표 얻으려 '반중 정서'에 편승해서야

靑, 차기 한은총재 인선 착수…임기 말 알박기 구태 멈추길

▲ 아시아투데이 = 치열해지는 첨단산업 투자와 인력 확보 경쟁

과도한 사이버 폭력 방치는 '살인 방조'다

▲ 조선일보 = 여력 있는데도 PCR 검사 막아, 확진자 수 축소 의도 아닌가

상식적 의문 해소하지 못한 김혜경씨의 사과

지지율 오르자 되살아난 尹 후보의 진중치 못한 언행

▲ 중앙일보 = '재택 방치'와 각자도생으로 끝난 K방역

'비정규직 제로'로 청년 일자리만 줄었다

▲ 한겨레 = '한동훈 기용해 문재인 정부 수사' 시사한 윤석열

'과잉 의전' 등 사과한 김혜경, 조사에도 성실히 응해야

"중국 어선 격침" "중국에 굴복", 대선 후보가 할 소린가

▲ 한국일보 = 尹 벌써부터 "文 적폐 수사", 진영 갈등 부추기나

김혜경 알맹이 없는 사과, 민심 수긍할지 의문

공급 부족 진단키트, 취약계층엔 무상 지급을

▲ 디지털타임스 = 美 유력 언론에 조롱당하는 한국 대선판, 개탄스럽다

코로나 '각자도생' 돌입…국민 각자가 방역 선봉 돼야

▲ 매일경제 = 코로나 재택치료인가 재택방치인가

민간기업 채용 독려하는 정부, 반토막난 공기업 채용도 돌아보라

해양풍력 난개발 오죽하면 어선 600척 시위 나서겠나

▲ 서울경제 = 돈 풀기 계속하면 금융위기 올 수 있다

탈원전 이념에 매달려 농어민 터전마저 빼앗을 건가

훼손된 올림픽 정신, 대중 저자세 바로잡는 계기돼야

▲ 이데일리 = '확대재정 성장 효과 없다', 재정만능주의 맹신 버려야

반중감정 부른 판정시비, 따져 묻되 냉정 잃어선 안 돼

▲ 전자신문 = '사이버 안보법' 합의가 먼저

K-콘텐츠 '별의 순간' 왔다

▲ 한국경제 = 경제부총리도 인정한 '나랏빚 증가=국가신용 흔들'

"노동규제 완화가 차기 정부 최우선 과제"라는 中企 호소

공기업 채용 반토막, 낙하산은 두 배…자칭 '일자리 정부'의 민낯

▲ e대한경제 = 선거 앞두고 정치권 또 추경 전쟁, 돈은 어디서 나오나

코로나19 확진자 폭증, 의료시스템 상황 악화 막아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장내 미생물 이용해 악성 뇌종양 면역치료 효과 높인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장내 미생물과 그 대사산물을 이용해 면역항암제가 듣지 않는 교모세포종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고 6일 밝혔다. 교모세포종은 가장 공격적이고 예후가 나쁜 대표적 악성 뇌종양이다.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가 최근들어 주목받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교모세포종에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다. 생명과학과 이흥규 교수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 생태계의 변화에 주목해 교모세포종의 면역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교모세포종이 진행되면서 장내 중요한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의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며, 이는 곧 장내 미생물 생태계 변화로 이어진다는 점을 확인했다. 트립토판을 보충해 장내 미생물 다양성을 회복시키면, 숙주에게 이로운 유익균인 '던카니엘라 두보시'(Duncaniella dubosii)가 면역세포인 'CD8 T세포'(암세포를 공격해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며, CD8 T세포를 종양 조직으로 유도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실제 교모세포종을 유발한 생쥐 모델에 트립토판을 보충한 결과, 두보시 균주가 CD8 T세포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