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틴 계열 고지혈증약, 부작용 10% 미만"

 스타틴(-statin) 계열의 고지혈증 치료제는 동맥경화를 일으킬 수 있는 저밀도 지단백(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심근경색과 뇌졸중 위험을 낮추어 주는 약이다.

 많은 고지혈증 환자들에게 스타틴이 처방되고 있으나 복용하다 끊거나 복용하다 말다 하는 환자들이 거의 50%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유는 근육통, 소화장애, 수면장애 같은 부작용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는 '노시보'(nocebo) 효과에 지나지 않는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노시보 효과란 어떤 약의 부작용 위험을 미리 알고 있는 복용자의 지레짐작에서 오는 허위 증세를 말한다.

 치료 효과가 없는 약을 효과가 있다면서 환자에게 주면 실제로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를 '플래시보(위약)' 효과(placebo effect)라고 한다.

 반면 환자들이 위약을 진짜 약물로 믿어 간혹 그 약이 지니고 있는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이 '노시보' 효과다.

 이것이 사실임을 입증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폴란드 지엘로나(Zielona) 대학 의대 심혈관 연구소장 마치에지 바나흐 교수 연구팀은 스타틴 복용자 중 실제로 부작용이 나타나는 사람은 10명 중 한 명도 안 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영국의 일간 텔레그래프(Telegraph) 인터넷판이 최근 보도했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발표된 총 414만3천517명이 대상이 된 총 176편의 연구 논문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스타틴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스타틴 불내성(statin intolerance)은 과대평가되고(overestimated) 과진단(overdiagnosed)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스타틴 부작용이 나타난 경우는 9.1%에 불과하며 부작용 진단 기준으로 판단하면 이보다 더 낮은 5.9~7%에 지나지 않는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따라서 스타틴 복용자의 부작용 증상 평가에는 매우 신중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즉 나타난 부작용이 실제로 스타틴 복용이 원인인지 아니면 복용자가 지레 스타틴 복용 때문이라고 느끼는 것인지를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실제 스타틴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난 환자들을 살펴보면 여성, 65세 이상 고령자, 주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 비만한 사람이 부작용 발생률이 높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여성 복용자는 부작용 발생률이 남성보다 48% 높았다.

 고령자는 상대적 부작용 발생률이 31%, 비만한 사람은 30%,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은 22% 높았다.

 이 연구 결과는 유럽 심장학회(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학술지 '유럽 심장 저널'(European Heart Journal)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이젠 의료개혁"…핵심은 '필수의료 강화·의사 기득권 깨기'
의대 증원을 위한 법적 걸림돌이 해소되면서 정부가 의료개혁에 박차를 가할 준비를 마쳤다. 정부는 의대 증원을 힘있게 추진할 수 있는 근본적인 동력이 '의료개혁'에 대한 국민의 절대적 성원에 있다고 보고, 의료개혁 완수를 위해 전력을 투구한다는 방침이다. 국민의 공분을 부른 '응급실 뺑뺑이', '소아과 오픈런' 등을 막기 위해 필수·지역의료 강화에 대대적인 재정 투자와 함께 다각적인 제도 정비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의료공백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해 '의사 기득권' 타파 작업도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으며, 전공의들의 처우 개선을 위한 '전문의 중심 병원'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 의대증원 '최종 관문' 넘은 정부 "이제는 의료개혁" 정부와 법조계,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고법 행정7부는 지난 16일 의료계가 보건복지부·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낸 의대 증원·배분 집행정지 신청에 대해 각하와 기각 결정을 내렸다. 재판부가 정부의 의대 증원을 멈추게 해달라는 의대생 등의 요청을 거부한 결정적인 이유는 바로 '의료개혁의 중대성'에 있었다. 재판부는 "의대생 신청인들의 학습권 침해 등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를 예방하기 위해 긴급한 필요성은 인정될 수 있지만, 이 사건 처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생쥐 운동시켰더니…"뇌 인지기능 저하 막는 세포 수준 변화"
운동을 하면 뇌 기능을 지원하는 중추신경계 면역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쳐 노화로 인한 인지 기능 저하를 예방하거나 늦추는 데 도움이 되는 세포 수준의 변화가 일어난다는 사실이 생쥐 실험에서 밝혀졌다. 호주 퀸즐랜드대 제나 부코비치 교수팀은 20일 의학 저널 '에이징 셀'(Aging Cell)에서 생쥐에게 운동을 시키면서 운동과 노화가 생쥐의 뇌에 있는 개별 세포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를 통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뇌의 노화를 늦추거나 되돌리면 인지 장애를 완화할 수 있다며 이전 연구에 따르면 운동이 인지 기능 저하를 완화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그 기저에 깔린 메커니즘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운동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생쥐에게 자발적으로 쳇바퀴 운동을 하게 하면서 단일 세포 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기억과 학습, 감정 등에 관여하는 뇌 부위인 해마(hippocampus)의 다양한 세포에서 일어나는 유전자 발현 변화를 조사했다. 그 결과 운동이 뇌 기능을 지원하는 중추신경계 면역세포인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유전자 발현에 큰 영향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