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 100만원 들인 QR인증기…중고마켓서 10만원 거래

  "방역패스 도입할 때 반도체 대란까지 겹쳐서 저렴한 태블릿을 구할 수 없었어요. 이걸 사는 데에 100만원 가까이 썼는데…."

 송파구에서 헬스장을 운영하는 정모(31)씨는 'QR코드 전자출입명부' 운영에 사용한 태블릿을 만지작거리며 "이제 와서 팔자니 값을 제대로 못 받을 게 뻔하고, 또 지침이 어떻게 바뀔지도 모른다"라며 한숨을 쉬었다.

 출입자 관리를 위해 대부분의 자영업자가 자비를 들여 장만한 태블릿PC·스마트폰 단말기 등이  최근 정부의 코로나19 방역지침 변경 이후 애물단지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가 부담해야 했을 방역 비용을 결국 민간이 떠안은 셈이 됐다는 비판도 고개를 들고 있다.

 지난 2020년 6월 정부는 코로나19 확진자 동선 추적 등 방역을 목적으로 QR코드 전자출입명부 제도를 도입했다.

 이어 지난해 11월에는 수기명부·안심콜을 통한 출입 인증을 폐지하고 방역패스를 도입해 출입 인증을 QR코드로 일원화했지만, 올해 들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와 확진자 폭증 등으로 인해 방역 환경이 변화하자 지난 1일 QR코드 사용을 전면 중단한 바 있다.

 성동구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이모(30)씨도 카운터 서랍 안에 보관해둔 태블릿PC를 보여주며 한숨을 쉬었다.

 그는 "쓸데가 없어져 처치 곤란해졌다"며 "많은 자영업자가 난처해할 것 같다"고 꼬집었다.

 광진구에서 보드게임카페를 운영하는 30대 이모씨도 "다른 데에 쓸 곳이 마땅찮아 활용도는 떨어지지만, 또 팔자니 얼마 받지도 못할 것 같아서 일단 놔둔 것"이라고 털어놨다.

 실제로 21일 중고거래 앱 당근마켓에서는 QR코드 인증을 위해 샀던 휴대전화나 태블릿PC를 10만원 이하의 비교적 싼 가격에 파는 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일부 프랜차이즈 업종 자영업자들은 본사가 이런 자영업자들의 고충에 대해 본사가 QR코드 도입 초기부터 지금까지 '나몰라라' 태도라고 꼬집기도 했다.

 프랜차이즈 카페를 운영하는 황수익(35)씨는 "QR제도가 초기에는 필요한 제도였다고 당연히 생각하긴 한다"면서도 "다만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QR코드 도입 당시 기기를 처음 살 때나 지금이나 아무런 말이 없어 점포 사장들이 전부 자비로 기기를 샀다"고 말했다.

 서초구에서 프랜차이즈 음식점을 운영하는 이모(38)씨도 "개별적으로 (기기를) 구비했고, 지침 변경 후에도 다른 조치가 없어 그냥 갖고 있다"면서 "서민에게 부담이 전가되는 주먹구구 방역 행정이 되풀이되지 않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숨찬 증상에 노화 탓만?…생명 위협하는 의외의 병일 수도
70대 A씨는 얼마 전 갑작스럽게 숨이 차올라 응급실에 실려 갔다. 검사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다리 골절로 침대에만 누워 지내던 중 생긴 혈전(피떡)이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의료진은 조금만 늦었더라면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했다. A씨가 진단받은 폐색전증은 심장병, 뇌졸중만큼 잘 알려진 병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들 질환 못지않게 치명적이다. 특히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이후 노인들에게서 발병률이 꾸준히 오르고 있어 경각심이 필요하다. 이 질환은 혈액 찌꺼기가 응고되면서 만들어진 혈전이 혈류를 타고 이동하다가 폐혈관을 막으면서 발생한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서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혈전은 다리의 심부정맥에서 시작돼 폐로 이동한다. 드물게 신체 다른 부위의 정맥에 혈전이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보통 하나 이상의 심부정맥에 혈전이 만들어지면 '심부정맥혈전증'(DVT)이라고 한다. 폐색전증의 대표 증상인 호흡곤란은 쉬는 동안에도 발생하며, 신체 활동을 하면 악화한다. 또한 심호흡

메디칼산업

더보기
위고비 8개월 만에 40만건 처방…비만치료제 시장 급성장
"제 주변만 봐도 위고비 맞는다는 사람이 여럿인데 전국으로 치면 엄청 많지 않을까요?" 위고비로 대표되는 국내 주사형 비만치료제 시장 규모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 등이 주사형 비만 치료제로 체중을 크게 감량했다는 사례가 언론 등을 통해 잇달아 보도되면서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위고비나 삭센다 같은 비만치료제를 처방받는 사람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또 다른 주사형 비만 치료제인 마운자로가 국내에 출시되면서 시장 경쟁은 더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0월 위고비가 국내에 상륙한 지 10개월이 지난 지금, 얼마나 많은 사람이 주사형 비만치료제를 이용했을까. ◇ 위고비 처방전 8개월 새 40만건 육박…출시 첫 달 대비 7배 증가 삭센다와 위고비 제조사인 노보노디스크는 각 제품의 국내 매출이나 판매량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는 관련법상 제약사가 제품별 매출 공개를 할 의무가 없는 데다 업체들이 일종의 영업비밀로 간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노보노디스크뿐만 아니라 다른 제약사들, 특히 외국계는 의약품 매출을 공개하지 않는다. 일종의 영업비밀인 셈"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의 내부 수치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