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보건의 날' 치과 검진과 스케일링 잊지 말아야"

옛날에는 양치 어떻게 했을까?

 이 잘 닦고 계신가요? 오늘은 '구강보건의날' 입니다.

 건강한 치아는 예부터 '오복'(五福) 중 하나로 꼽혔습니다. 물론 치아 건강이 오복에 해당한다는 것은 확인되지 않은 속설이지만, 사람들이 이렇게 여겨온 것은 그만큼 치아를 중요하게 생각했다는 뜻이겠죠.

 그런데 칫솔이나 치약이 없던 옛날에 우리 선조들은 치아 관리를 어떻게 했을까요?

'양치질'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이를 닦고 물로 입 안을 가시는 일'로 나옵니다. 한자를 빌려 '養齒'(양치)라고 적기도 하죠.

 그런데 양치의 어원은 따로 있다고 합니다. 바로 버드나무 가지를 뜻하는 '양지'(楊枝)에서 나왔다는 거죠.

 고려 시대 문헌인 '계림유사'에는 '이를 닦는 것을 양지라고 한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당시엔 버드나무 가지를 잘게 으깬 후 솔처럼 만들어 이 사이를 쓸어냈다고 해요. 실제 버드나무에는 살균 및 염증 완화 성분도 함유돼 있다고 하니 효과가 있었을 것 같네요.

 조선 시대엔 소금을 활용했다죠. 소금을 손가락에 묻혀 입 안에 넣고 이를 닦는 방법이죠. 동의보감엔 '소금으로 이를 닦고 더운물로 양치를 하면 이에 남은 술독이 제거된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하지만 당시 소금은 가격이 무척 비쌌습니다. 일반 백성이 이를 닦기 위해 소금을 사용하기는 어려웠죠. 그래서 이용한 것이 쑥과 지푸라기였어요.

 서민들은 지푸라기로 이를 닦고, 쑥을 달인 물로 입을 헹궈 치아를 관리했죠. 강가의 모래로 이를 문질러 닦은 후 강물로 씻어냈다고도 해요.

 오늘날처럼 치약과 칫솔로 이를 닦게 된 것은 개화기 이후입니다.

 구강보건의날이 6월 9일인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첫 영구치인 어금니가 나오는 만 6세의 '6'이라는 숫자와 어금니를 뜻하는 '구치'(臼齒)의 '구'자를 숫자 '9'로 형상화해 정한 것이라고 하네요.

 현대에 들어 치아는 삶의 질을 좌우할 정도로 한층 중요해졌습니다. 잘 씹어야 건강할 수 있죠. 무엇보다 칫솔질이 중요합니다.

 성인의 평균 칫솔질 횟수는 하루에 2∼3회인데, 2∼3개월이면 칫솔모가 벌어져 세정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칫솔을 교체해야 합니다.

 이를 닦을 때는 아랫니는 아래에서 위로, 윗니는 위에서 아래로 회전하듯 닦아주어야 치석 제거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정기적으로 치과 검진을 받고 스케일링을 하는 것도 잊지 않아야겠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유통 안전 훼손"
대한약사회는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을 확대하도록 한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 측 권고에 대해 "의약품 유통과 사용 관리를 위한 안전장치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대한약사회는 지난 28일 성명을 내고 "화상 투약기는 이용률과 판매 실적이 매우 낮아 국민 편익에 부합하지 못한다"며 "사업성과 사회적 편익 증가가 부족한 사업"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 같은 상황에서 약국 외 격오지에도 (화상 투약기를) 설치하라는 권고는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는 것"이라며 "'대면 원칙'과 '약국'이라는 의약품 유통 및 사용 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훼손된다"고 했다. 아울러 경구용 피임제, 수면유도제 등 품목이 화상 투약기를 통해 판매되는 데 대해 "이는 해외에서 매우 까다롭게 관리하는 품목"이라며 "약학 전문가의 우려를 반영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는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을 확대하라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규제특례위원회에 권고했다. 확대 권고 대상은 현행 11개에서 사전피임제, 수면유도제, 건위소화제, 외피용 살균소독제, 청심원제 등 13개 약효군을 추가한 24개다. 소비자는 약국 앞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