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노인 의료비…대책은 '검토중'

2016년 25조187억원→2021년 40조6천129억원으로 5년간 1.6배로
올해도 1분기 현재 노인 진료비 9조8천565억원으로 전체의 42.6%

 노인 의료비가 해마다 늘고 있다. 이 추세라면 전체 진료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전망마저 나온다.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노인 의료비를 그대로 내버려 두면 전 국민의 의료 안전망인 건강보험 제도의 지속가능성이 심각하게 위협받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우려한다.

 노인진료비가 급증하는 데는 급속하게 진행하는 인구 고령화로 의료 수요가 큰 노인 인구가 빠르게 느는 등 인구구조의 급변이 주요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다.

 ◇ 노인 진료비 매년 증가…올해 1분기 전체의 42.6% 차지

 2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22년 1/4분기 건강보험 주요 통계 개요' 자료를 보면, 전체 건강보험 진료비가 매년 오름세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특히 노인진료비가 크게 늘고 있다.

 진료비는 건강보험이 의료기관에 지불한 진료비와 환자가 의료기관에 직접 낸 본인부담금을 합한 것이다. 건강보험을 적용받지 못하는 비급여 진료비는 들어가지 않는다.

 65세 이상 노인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6년 25조187억원에서 2017년 27조6천533억원, 2018년 31조6천527억원, 2019년 35조8천247억원, 2020년 37조4천737억원 등으로 늘었고, 2021년 40조6천129억원으로 40조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노인 진료비는 2016년과 견줘서 5년간 1.6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건강보험 총진료비 중 노인 진료비 비중도 2016년 38.7%에서 2017년 39.9%, 2018년 40.8%, 2019년 41.4%, 2020년 43.1%, 2021년 43.4% 등으로 계속 늘었다.

 올들어서도 65세 이상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1분기에만 9조8천565억원으로 전체의 42.6%에 달하며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추세대로 가면 노인 진료비가 전체 진료비의 절반 이상에 달하게 될 게 불 보듯 뻔하다.

 65세 이상 노인의 1인당 월평균 진료비도 2016년 32만8천599원, 2017년 34만6천161원, 2018년 37만8천657원, 2019년 40만9천536원, 2020년 40만4천331원, 2021년 41만5천887원 등으로 거의 해마다 늘고 있다.

 2021년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는 전체 평균(월 15만1천613원)과 비교해서 2.74배 수준에 이른다.

 올해 1분기 현재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는 39만667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해서 0.1% 늘었다.

65세 이상의 건강보험 진료비

 ◇ 건보 적용 인구의 노인 비중 16.2%…2040년엔 3명 중 1명이 노인

 이처럼 노인 의료비가 증가하는 것은 전체 건강보험 가입자 중에서 차지하는 노인 인구가 늘고 비중도 커지기 때문이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016년 644만5천명, 2017년 680만6천명, 2018년 709만2천명, 2019년 746만3천명, 2020년 790만4천명, 2021년 832만명 등으로 대폭 늘었다.

 전체 건강보험 적용인구 중에서 노인 인구의 비율도 2016년 12.7%, 2017년 13.4%, 2018년 13.9%, 2019년 14.5%, 2020년 15.4%, 2021년 16.2% 등으로 증가했다.

 올해 3월말 현재 65세 이상 건강보험 적용인구는 844만9천명으로 전체의 16.4%를 차지해 작년보다 더 증가했다.

 
65세 이상 건강보험 적용인구

 문제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총인구 감소 시기가 빨라지는 가운데 노인 인구는 더 가파르게 늘 것이라는 점이다.

 통계청은 '2020~2040년 내·외국인 인구 전망'에서 우리나라 총인구(내국인+외국인)가 2020년 5천184만명에서 2040년 5천19만명으로 165만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기간에 내국인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2020년 3천583만명, 2030년 3천221만명, 2040년 2천676만명 등으로 줄어들고, 전체 인구에서 생산연령인구의 비중도 2020년 71.5%에서 2040년 55.7%로 떨어진다.

 이에 반해 65세 이상 내국인 고령 인구는 2020년 807만명에서 2025년에는 1천만명을 돌파하고, 2035년엔 1천500만명을 넘어서며, 2040년엔 1천698만명으로 2020년과 견줘서 2배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은 2020년 16.1%에서 2040년에는 35.3%로 높아진다. 2040년에는 국내 3명 중 1명이 고령 인구라는 뜻이다.

 생산연령인구 대비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을 의미하는 노년 부양비는 2020년 22.5명에서 2040년 63.4명으로 3배 가까운 수준으로 올라간다. 생산연령인구 3명이 고령 인구 2명을 부양하는 수준이다.

 ◇ 저출산·고령화 대응 다양한 대책 검토하지만…구두선에 그쳐

 역대 정부는 점점 악화하는 저출산·고령화로 건강보험 등의 사회보험 체계가 재정적으로 심하게 흔들릴 수 있다고 보고, 오래전부터 수입과 지출 측면에서 다양한 대응책을 검토했지만, 국민부담을 늘리고 혜택을 줄이는 것이어서 국민반발을 의식해 구두선에 그칠 뿐 쉽사리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건강보험 제도를 보면, 보건복지부는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문재인 정부 때인 2019년 4월에 '제1차 국민건강보험 종합계획'(2019∼2023년)을 내놓았다.

 이 종합계획은 초고령사회 등 급변하는 미래를 대비해 건강보험의 보장강화에 쏠렸던 정책목표와 추진 방향을 재정안정을 통한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쪽으로 잡았지만, 아직 이렇다 할 성과는 눈에 띄지 않는다는 게 대체적 평가이다.

 이를테면, 노인 의료비 증가에 대응해 진료비 감액 혜택을 받는 노인 외래 정액제의 적용대상 연령 기준을 65세에서 70세로 높이는 등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지만, 지금껏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했다.

 노인 외래 정액제는 65세 이상 환자가 의원급 외래진료를 받을 때 총진료비가 일정 수준 이하이면 일정 금액만 부담하도록 하는 제도를 말한다.

 전문가들은 인구 고령화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등으로 의료수요와 의료 이용량은 더욱 늘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려면 방임에 가까울 정도로 의료 이용을 허용하는 현행 제도를 손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신현웅 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보건의료 정책 현황과 과제: 지속가능성 확보를 중심으로'란 연구보고서에서 "보건의료 제도는 국민의 건강을 최일선에서 지켜주는 든든한 방어막이지만 아무리 좋은 제도라도 지속할 수 없으면 국민이 마음 편히 믿고 의지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면서 "잦은 외래이용과 투약 등 기존의 의료 과다 이용 행태를 고려하지 않은 양적 확대 중심의 보장성 강화 정책에서 벗어나 앞으로의 보건의료 정책은 꼭 필요한 분야의 의료보장은 확대하되 불필요한 분야는 개선하는 쪽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