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두통 발작 예방약 '엡티네주맙', 빈도 감소 효과"

 편두통 발작 예방약 엡티네주맙(제품명: 바이엡티)이 편두통 발작 빈도를 상당히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 의대 신경과 전문의 메수드 아시나 교수 연구팀은 전에 편두통 예방 치료에 여러 번 실패한 적이 있는 편두통 환자들에게 엡티네주맙이 편두통 발작 빈도를 월평균 최대 5일 이상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덴마크의 룬드벡 제약회사 제품인 엡티네주맙은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를 표적으로 하는 단일 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로 같은 계열인 애모빅(암젠 제약), 앰갈리티(일라이 릴리 제약), 아조비(테바 제약)와 함께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편두통 예방약으로 승인을 받았다. 엡티네주맙은 정맥 주사제이고 다른 3가지 약은 피하주사제이다.

 엡티네주맙은 여러 번의 3상 임상시험에서 이미 효과가 입증됐지만 과거에 치료제가 듣지 않았던 경험이 있는 편두통 환자들이 대상이 된 임상시험은 없었다.

 이번 임상시험(phase IIIB DELIVER)은 지난 10년 사이에 편두통 예방 치료에 최소한 2~4회 실패한 적이 있는 편두통 환자(891명)만을 대상으로 2020년 6월에서 2021년 10월 사이에 진행됐다.

 이 중 299명은 엡티네주맙 100mg, 294명에게는 엡티네주맙 300mg, 298명에게는 위약이 투여됐다.

 임상시험 참가자는 대부분 여성과 백인으로 평균 연령은 43.8세였다.

 46%는 만성 편두통 환자, 42%는 편두통 발작이 매달 8~14회 나타나는 산발적 편두통 환자였다.

62%는 과거 2차례, 31%는 3차례 편두통 예방 치료에 실패한 적이 있었다.

 임상시험 시작 1~12주에 엡티네주맙 100mg 그룹은 편두통 발작 빈도가 월평균 4.8일, 300mg 그룹은 5.3일 줄어들었다. 대조군은 2.1일 줄어드는 데 그쳤다.

 엡티네주맙은 안전하고 내약성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임상시험 결과는 영국의 의학 전문지 '랜싯 신경학'(Lancet Neur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개혁]"대형병원, 전공의 의존 낮추고 중증환자 중심으로 바꿔야"①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이 대거 병원을 떠난 후 좀처럼 돌아오지 않으면서 국내 의료체계의 '민낯'이 드러나고 있다. 전문의가 되고자 수련하는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의 이탈만으로 심각한 '의료대란'이 벌어진 것은 그동안 전공의에 지나치게 의존해온 국내 의료체계의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전공의의 집단사직으로 인한 의료대란이 역설적으로 상급종합병원의 제 기능을 일깨우고 있다. 상급종합병원들은 전공의 이탈로 어쩔 수 없이 경증환자를 돌려보내고 중증환자에 집중하고 있는데, 이야말로 상급종합병원의 '정상'적인 모습이라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전공의에게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줄이고, 상급종합병원을 중증·응급환자 중심으로 개편하는 등 국내 의료체계의 '정상화'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한다. ◇ 의료대란 부른 '전공의 과의존'…정부 "병원 구조 바로잡겠다"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그동안 대학병원 등 주요 상급종합병원은 교수나 전문의보다 '값싼' 노동력인 전공의를 대거 투입하며 비용 절감을 꾀해왔다. 2021년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결과에서 전공의는 상급종합병원 전체 의사 인력의 37.8%를 차지했다. 이른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피부세포로 인공수정용 난자 제작 '눈앞'…불임 해결에 희소식
인간의 피부세포로 체외 인공수정(IVF) 난자를 만드는 데 청신호가 켜졌다고 영국 가디언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OHSU) 연구진은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실험용 생쥐의 피부 세포 핵을 난자에 이식시키는 방법으로 생존 가능한 배아를 만드는 기술 에 한걸음 더 다가갔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먼저 기증된 난자의 핵을 제거한 뒤 부모의 피부 조직에서 추출한 핵으로 대체했다. 난자는 염색체의 두 쌍 중 절반을 자연적으로 폐기하고 한 쌍만 남기는 방식으로 배양됐다. 이 작업이 있어야만 나중에 정자와 수정된 이후 수정란이 부모로부터 절반씩 염색체를 받아 정확한 수의 염색체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기술은 지난 1996년 영국 연구진이 복제 양 '돌리'를 만들었던 기술인 '체세포핵치환'(SCNT)을 응용한 것이다. 연구진은 생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시행했으며, 지난 2022년 이 기술을 통해 생쥐 세 마리가 태어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당시 성공률은 1%도 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2022년에는 이번 연구의 개념을 증명했고, 이번에는 난자에서 염색체 절반이 어떻게 제거되는지에 초점을 맞췄다고 전했다. 향후 연

메디칼산업

더보기
"재생 치료에 쓰이는 고순도 줄기세포 대량 배양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재생 치료 등에 쓰이는 임상 등급의 고순도 줄기세포를 대량으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 손미영 박사팀이 세계 최초로 인간 장(腸) 오르가노이드에서 장 줄기세포를 농축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오르가노이드는 줄기세포나 조직공학 기술을 활용해 제작한 인체 장기유사체로, 동물 대체 실험이나 신약 개발, 재생 치료 등에서 활발하게 활용된다. 신체를 구성하는 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이 있는 줄기세포는 재생, 인공장기, 세포 치료 등에 이용된다. 하지만 생체 내에서 한정된 양으로만 존재할 뿐 아니라 배양이 어렵다. 연구팀은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이용해 만든 3차원 장 오르가노이드에서 고순도의 인간 장 줄기세포 집합체를 대량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해 장 줄기세포 집합체들이 고농축된 것을 확인, 이를 분리·배양하는데 성공했다. 생산된 장 줄기세포 집합체가 마우스 동물모델의 손상된 장 상피 세포 조직을 재생시키는 것을 확인, 치료제로서 이용 가능성을 높였다. 연구팀은 세포를 공기 중에 노출해 분화를 유도하는 '기체-액체 계면(Air-Liquid In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