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약 메트포르민, 조울증 치료에 도움"

 2형 당뇨병 표준치료제인 메트포르민(metformin)이 조울증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조울증은 기분이 상승한 상태인 조증(躁症)과 기분이 저조한 상태인 울증(鬱症)이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정신장애다. 그래서 공식 명칭이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다.

 메트포르민은 간(肝)의 포도당 생성을 감소시키고 세포의 인슐린 민감성을 높임으로써 당뇨병을 치료한다.

 캐나다 댈하우지(Dalhousie) 대학 의대 정신의학 전문의 신시어 캘킨 박사 연구팀은 메트포르민이 조울증 환자의 인슐린 저항(insulin resistance)을 개선, 조울증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 의대 조울증 외래 클리닉 실장인 클라우디아 발다사노 박사에 따르면 조울증 환자의 50% 이상이 인슐린 저항이 있다고 한다. 그 이유는 조울증 환자는 대개 과체중이거나 비만으로 2형 당뇨병 위험이 높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25년 이상 조울증이 계속되고 있는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환자들은 90% 이상이 신경안정제 리튬, 항경련제, 항정신병 약물, 항우울제 등 4가지 치료제 중 3가지가 효과가 없었다. 그만큼 중증이었다.

 연구팀은 이들을 무작위로 절반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엔 메트포르민을 복용하게 하고 다른 그룹엔 위약(placebo)을 주었다.

 그 결과 메트포르민 그룹은 14주 내에 50%가 인슐린 저항이 사라지면서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

 메트포르민 그룹은 조울증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검사에서 증상이 현저하게 개선됐다.

 이 결과는 매우 인상적이지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메트포르민은 안전했다. 메트포르민은 50년 넘게 사용돼온 안전하고 값싼 약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인슐린 저항은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추측했다.

 혈뇌장벽은 뇌혈관 벽에 특수 세포와 물질들이 밀집해 마치 '지퍼'(zipper)처럼 단단하게 조여진 곳으로 중요한 영양소만 선택적으로 뇌로 들여보내고 해로운 물질은 차단하는 한편 뇌의 노폐물을 내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혈뇌장벽은 원래 뇌를 보호하기 위한 것인데 인슐린 저항이 나타나면 혈뇌장벽에 누출이 발생한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혈뇌장벽이 새면 염증 분자가 뇌로 들어가 조울증 같은 뇌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혈뇌장벽이 무너지면 조울증을 직접 치료하는 약들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조울증과 인슐린 저항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은 정신의학 분야에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오고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정신질환 외에 환자의 몸속에서 진행되고 있는 기저 메커니즘도 살펴봐야 한다면서 그 이유는 서로 연관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핵심은 메트포르민이 항우울제가 아니고 잘못된 기저 메커니즘, 즉 인슐린 저항을 회복시킨다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임상 정신약리학회(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Psychopharmacology) 학술지 '임상 정신의학 저널'(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대란 일주일]① "고령화로 의사수요 급증" vs "인구줄어 의사 남아돌아"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을 둘러싸고 정부와 의사들 사이의 간극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는 것은 논의의 근본 전제인 의사 부족 여부에 대한 시각이 '극과 극'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정부는 27년간 의대 정원이 늘지 않는 상황과 급속한 고령화를 이유로 의사 수가 부족하다고 보지만, 의사들은 인구 감소 상황에서의 의대 증원이 의사인력의 공급 과잉을 불러올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의사 수, 즉 의대 증원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의사가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해야 하는지도 양측의 시각이 갈린다. 정부는 의사뿐 아니라 사회 각계의 의견을 들은 뒤 정부가 결정할 일이라는 생각이지만, 의사들은 증원 규모까지 정부와 의사들이 함께 정해야 한다는 시각을 갖고 있다. 의사들은 의사 수가 늘어나면 건강보험 재정이 파탄 날 것이라고 경고한다. 이에 대해 정부는 의사 수 부족이야말로 진료비 상승의 주범인 만큼 이번에는 의대 정원을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 "고령화에 의사 수요 늘어" vs "저출산에 의사 남아돌아" '저출산 고령화'라는 같은 현상을 두고 정부와 의사들은 의대 증원이 필요한지에 대해 정반대의 진단을 내리고 있다. 정부는 고령화에 의료수요가 폭증하고 있다는 것을 큰 폭의 의대 증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세균 침입하면 항생제 방출…임플란트용 코팅 소재 개발
국내 연구진이 세균 침입에 반응해 항생제를 방출하는 치과 치료 소재를 개발했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 차형준 교수, 화학공학과 최현선 박사 연구팀이 경북대 의생명융합공학과 조윤기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홍합 접착 단백질을 기반으로 한 임플란트용 코팅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임플란트는 상한 치아를 빼낸 뒤 턱뼈에 나사를 심고 치아를 대체할 보철물을 끼우는 치과 치료법이다. 임플란트는 시술 부위가 세균에 감염되면 고정력이 약해지고 각종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항생제를 포함한 임플란트 코팅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연구팀은 홍합 접착 단백질 아미노산 중 하나인 도파(DOPA)에 주목했다. 홍합의 강력한 접착력 핵심인 도파는 금속 이온과 강력한 결합을 형성하는 아미노산으로 산성도가 낮으면 금속 이온과 결합력이 약해지는 특징이 있다. 연구팀은 몸속에 세균이 침입하면 그 주변 산성도가 낮아지는 점에 착안해 새로운 임플란트용 코팅 소재를 개발했다. 이 소재는 일반적 환경에서는 내부에 항생제를 품고 있다가 세균에 감염돼 주변이 산성화하면 8시간 안에 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