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31개 국내 제약사, 작년 연구개발(R&D)에 7천억 투자…20%↑"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는 국내에 진출한 글로벌 제약사 31개 사가 지난해 연구개발(R&D)에 7천억 원 넘게 투자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7일 밝혔다. 

 KRPIA가 이날 발표한 '2021년 R&D 비용과 연구인력에 대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1곳 이 임상연구에 투자한 R&D 비용은 7천153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31개 사가 투자한 5천963억 원보다 20%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진행된 임상연구는 1천590건으로 전년 대비 6.1% 증가했다.

항암제 임상 비율이 66.3%로 가장 높았고 희귀질환 임상 비율은 9.7%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치료 제·백신 임상은 14건 진행됐다.

 지난해 1~3상 임상시험에 참여한 환자 수는 1만6천342명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했다.

 임상시험을 통해 지난 한 해 국내 환자에게 무상 지원된 임상시험용의약품 비용은 3천128억으로 집계됐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조사에 참여한 31개 사의 R&D 인력은 1천922명으로 나타났다.

 KRPIA는 "글로벌 신약에 대한 한국의 임상시험 증가에도 불구하고 신약의 국내 도입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국내 환자들의 최첨단 신약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허가 및 급여·약가 결정에서 제도적·정책적 개선이 필요하며 이는 또한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에 대한 R&D 투자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부분일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