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브루티닙, 구강과 안구 건조 증상 '쇼그렌 증후군'에 효과"

 BTK(Bruton's tyrosine kinase)억제제 레미브루티닙(remibrutinib)이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에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쇼그렌 증후군은 체액을 밖으로 분비하는 외분비샘에 림프구가 스며들어 침과 눈물 분비가 줄어들면서 구강과 안구 건조 증상이 나타나는 만성 자가 면역 질환이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도 30%에서 쇼그렌 증후군이 나타난다.

 독일 베를린 샤리테(Charité) 의과대학 류머티즘 전문의 토마스 되르너 교수 연구팀은 레미브루티닙이 쇼그렌 증후군의 중증도(severity)를 상당히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2상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임상시험은 쇼그렌 증후군 환자 73명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엔 경구용 레미브루티닙 100mg을 하루 두 번 투여하고 다른 그룹(대조군)엔 위약(placebo)을 투여하는 방식으로 24주간 진행됐다.

 환자들은 평균 연령이 52세로 여성이 대부분이었고 10년 가까이 쇼그렌 증후군이 진행되고 있었다.

 임상시험 결과 '레미브루티닙 그룹'은 쇼그렌 증후군 증상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유럽 류마티스 학회 쇼그렌 증후군 활성도 지수(ESSDAI: EULAR Sjogren's syndrome Activity Index)가 대조군보다 평균 2.86점 떨어졌다.

 '레미브루티닙 그룹'은 ESSDAI 점수가 임상시험 전의 9점에서 4점 이상 꾸준히 낮아졌다.

 대조군도 첫 8주 동안은 ESSDAI 점수가 급격하게 낮아졌지만, 시간이 가면서 ESSDAI 점수가 다시 올라가 마지막에는 처음보다 평균 2점 미만 낮아지는 데 그쳤다.

 BTK 억제제는 많은 자가면역성 염증 질환을 유발하는 B 면역세포를 억제한다.

 레미브루티닙은 노바티스 제약회사가 개발한 BTK 억제제로 쇼그렌 증후군 외에도 다발성 경화증, 땅콩 알레르기,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같은 다른 자가 면역 질환 치료제로 현재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류마티스 학회(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연례 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