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 치료로 수면장애 완화 확인"

한국한의학연구원, 불면치료 등 전자약 개발 기초 근거로 활용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침 치료가 수면장애를 완화하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한의과학연구부 류연희 박사 연구팀은 고함량 카페인을 투여해 수면장애·심장박동 증가 등 과각성 상태를 유도한 동물을 대상으로 신문혈 전침 자극 실험을 진행했다.

 신문혈은 뇌의 기능, 운동 감각, 정서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 실험에서 수면에 영향을 주는 뇌 내 시스템의 소포체 스트레스가 침 치료로 완화하고, 침 치료군의 각성 시간이 카페인 투여군보다 50%가량 줄어든 사실을 확인했다.

 소포체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단백질을 조립·이동시키는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해 염증 등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류연희 박사는 "침 치료는 부작용이 적고 지속해서 수면을 관리할 수 있는 비약물 치료 기법"이라며 "다양한 원인에 따른 불면을 지속해 관리할 수 있는 치료 기기, 전자약 개발의 기초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타이레놀 CEO, 美보건장관에 로비…"자폐증 원인으로 언급 말라"
유명 해열진통제 타이레놀의 제조사가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을 상대로 자폐증 발병 원인으로 타이레놀을 언급하지 말아달라는 로비를 벌였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타이레놀 제조사 켄뷰의 임시 최고경영자(CEO)인 커크 페리는 최근 로버트 케네디 보건복지부 장관과 비공개 회동을 하고 '타이레놀과 자폐증 사이에는 명확한 연관성이 없다'고 설득했다. 페리 CEO는 기존의 연구 결과 임신부의 열을 내리는 데 있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한 약물은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 의학계와 미 식품의약국(FDA)은 임신 중 특정 시기에 이부프로펜이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등 아세트아미노펜 대체 약물을 복용하면 선천적 기형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두 사람의 만남은 WSJ이 지난 5일 케네디 장관이 조만간 임신부의 타이레놀 복용이 태아의 자폐증과 잠재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보도한 이후 급하게 추진됐다. 이 보도가 나오자 켄뷰의 주가는 장중 9% 하락했고, 회사 경영진은 정부 보고 내용에 촉각을 곤두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켄뷰는 성명에서 "우리는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