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약 메트포르민, 코로나19 중증 예방"

  2형 당뇨병 표준 치료제인 메트포르민(metformin)이 코로나19 감염 환자가 중증으로 악화하거나 사망할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미네소타 대학 의대 노인의학 전문의 캐롤라인 브라맨티 교수 연구팀이 36개 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 감염 치료를 받은 2형 당뇨병 환자 6천626명(평균연령 60.7세, 남성 48.7%, 백인 56.7%, 흑인 21.9%, 아시아계 3.5%, 라틴계 16.7%)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이들 중 14.5%가 입원 치료를 받았다. 그중 1.5%는 기계 환기(mechanical ventilation) 치료를 받았고 1.8%는 사망했다.

 연구팀은 이들이 복용하고 있던 당뇨약(메트포르민, DPP-4 억제제, 설포닐우레아)이 코로나19 치료 결과와 연관이 있는지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메트포르민을 복용한 환자들은 설포닐우레아를 복용한 환자들보다 기계 환기 치료율이 50%, 사망률이 44%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DPP-4 억제제를 복용한 환자들과 비교했을 때는 기계 환기 치료율이 32%, 사망률이 18% 낮았다.

 메트포르민은 코로나19 감염 초기에 일찍 투여할수록 중증 악화 예방 효과가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염 증상이 나타나기 4일 이전에 투여했을 때 병원 응급실 이송, 입원, 사망 위험 감소 효과가 가장 컸다.

 메트포르민은 시험관 실험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러한 효과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세포 밖에서 새로이 증식할 때 이용하는 MTOR 단백질을 차단하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국립 전염병 재단(National Foundation for Infectious Diseases) 의료 실장 윌리엄 샤프너 박사는 메트포르민이 항염증 작용을 하는 것은 확실하다면서 코로나19가 체내 곳곳에서 일으키는 염증반응을 억제한다면 증상이 중증으로 악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논평했다.

 메트포르민은 1994년 당뇨병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값싼 약이기 때문에 고위험 코로나19 환자들에게 적응증외(off-level)로 투여하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고 그는 말했다.

 메트포르민은 간(肝)의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고 세포의 인슐린 민감성을 높여 혈당을 내리게 하는 약이다.

 그러나 메트포르민은 항바이러스, 항염증 효과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2010년대에 나오면서 지카(Zika)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등 다른 바이러스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들이 시작됐다.

 또 메트포르민은 코로나19 감염 초기에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게 투여하면 입원 위험이 40% 이상, 사망 위험이 50% 이상 줄어든다는 임상시험 결과도 발표된 일이 있다.

 이 연구 논문은 온라인 과학 전문지 '공공 과학 도서관'(PLoS One) 최신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與 "생명관련 필수의료수가 대폭인상·민간도 공공수가 적용"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이 응급의학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 필수의료 분야 기피 현상을 해결하고자 생명과 관련된 필수의료 행위에 대한 수가를 대폭 인상하고, 민간 의료기관이라도 필수 의료를 수행하면 공공정책 수가를 적용하는 내용을 담은 필수의료육성법 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필수의료 분야에서 의료사고 발생 시 의료인에 대한 민·형사상 부담을 완화하는 내용을 담은 의료법·형사처벌특례법 재·개정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국민의힘 '지역필수의료 혁신 태스크포스' 위원장인 유의동 정책위의장은 12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TF의 지난 2개월여간 논의 결과를 설명하며 이같이 발표했다.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싸고 정부와 대한의사협회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의사단체가 요구하는 주요 보완책 등을 의대정원 확대와 함께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힘으로써 의료계 달래기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유 정책위의장은 이날 지역필수 의료제도 개선을 위해 TF가 ▲ 지역 간 의료불균형 문제 해소 방안 ▲ 필수의료인력 육성 방안 ▲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근무하는 의료 인력 지원 방안 등 세 가지 방안을 마련했다며 "논의 결과를 정부에 전달해 정부가 추진하는 지역 필수 의료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