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방역용 소독제 흡입독성 시험 '면제'는 안일 행정"

'분무·분사'하면 안 되지만 현장서 비일비재

 코로나19 방역용 소독제로 많이 사용된 물질에 대한 흡입독성 시험이 아직 이뤄지지 않아 뒤늦게라도 실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주환 의원은 "환경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염소화합물, 알코올, 4급 암모늄화합물, 과산화물, 페놀류화합물 등 5대 물질을 사용한 코로나19 방역용 소독제 중 흡입독성 시험을 거친 제품은 없었다"고 10일 밝혔다.

 코로나19 방역용 소독제는 '의약외품 중 감염병 예방용 살균·소독제'로서 약사법에 따라 흡입독성 시험이 면제된다.

 흡입독성 시험 면제가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지만, 현실을 고려하면 안일한 행정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환경부와 질병관리청은 '소독제 성분은 흡입독성 우려가 있으므로 공기 중 분무·분사하는 방식이 아닌 물체 표면 위주로 닦아내는 소독을 권고'해왔다.

 그러나 방역현장에서는 소독제를 희석해 분무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특히 코로나19 발생 초기 공공시설과 다중이용시설 등 이용자가 많고 넓은 공간에서 소독제 분무가 자주 이뤄졌다.

 이에 이 의원은 뒤늦게라도 코로나19 방역용 소독제 흡입독성 시험을 시행해 위험성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주환 의원은 "작년 9월 경기도의회 토론회에서 공공방역활동에 참여한 한 참가자가 '폐가 찢어질 듯한 고통'을 겪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면서 "문제가 분명히 존재하는데 환경부는 코로나19 방역용 소독제 흡입독성 시험 자료가 있는지 없는지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기대수명 증가로 더 많은 질병 노출…소비자·보험사 준비해야"
고령자 사망률이 개선되고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이 늘어나므로 소비자와 보험사가 이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사망률 개선이 노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사망률 개선은 수명 연장보다는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 증가 측면에서 의미가 더 크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작년 12월 보험개발원이 발표한 10회 경험생명표에서는 남성 평균수명이 86.3세, 여성은 90.7세로 지난 생명표보다 각 2.8세, 2.2세 늘어났다. 경험생명표는 보험사의 통계를 기초로 사망, 암 발생, 수술 등에 대해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해 보험개발원이 산출하는 보험료율의 집합으로, 통상 3∼5년 주기로 개정된다. 연구원에 따르면 고령자의 사망률이 개선되면 연령별 질병 발생률이 동일하더라도 노후에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 커진다. 여성의 경우 50세 이후 암 발생률이 개선돼 90세 이후에는 개선 폭이 10% 이상으로 확대되지만, 누적 암 발생자 수는 90세 이후에 오히려 증가하는데 이는 사망률 개선 효과 때문이다. 연구원은 "이는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건강수명과 기대수명 차이가 확대되는 현상과 유사하다"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