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식중독 의심 신고 예년의 2배…노로바이러스 감염 조심

 

 최근 음식점과 어린이집, 유치원 등을 중심으로 식중독 의심 신고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올해 1월 신고된 식중독 의심 건수는 50건, 환자는 485명이었다.

 지난 2018∼2022년 5년간의 1월 평균 신고 건수인 23.8건의 2배가 넘는다.

 특히 코로나19 이후인 2021년과 2022년 1월엔 신고 건수가 각각 17건, 16건에 그쳤는데 올해 들어 급증했다.

 올해 1월 신고된 50건 중 절반은 음식점(25건)에서 나온 것이고, 어린이집·유치원(18건), 학교(3건)  등에서도 신고가 들어왔다.

 식약처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모임이 급증함에 따라 음식점 식중독 발생 의심 신고가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겨울철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표 원인은 노로바이러스다.

 노로바이러스는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등을 섭취할 경우 식중독을 일으키는 장관계 바이러스로 기온이 낮을수록 더 활발하게 움직이는데다 영하 20도에서도 생존이 가능해 겨울철에 자주 발생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5주 동안 전국 208개 표본 참여 의료기관에서 신고된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는 1천271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584명)의 약 2.2배다.

 특히 성인보다 면역력이 약한 데다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 단체 생활을 하는 영유아들이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에 취약하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노로바이러스 신고 환자의 57%가 0∼6세였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환자의 분변과 구토물, 침, 오염된 손 등 사람간 접촉으로도 쉽게 감염되므로 개인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조리할 때 손을 깨끗이 씻고 지하수는 반드시 끓여 먹으며 어패류는 중심온도 85도에서 1분 이상 완전히 익혀 섭취하는 게 좋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면 조리를 하지 말아야 하며 환자가 사용한 화장실, 변기, 문손잡이, 수도꼭지 등은 염소 소독제를 사용해 소독해야 한다고 식약처는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