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성 및 주의력 장애 아동, 60% 성인돼도 증상…4년새 배 가까이 늘어"

활동성 및 주의력 장애…적절한 치료 없으면 대인관계 등 어려움
10대 100명중 1명꼴…아동 청소년 환자, 남성이 3배 이상 많아

 집중의 어려움과 과잉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성 및 주의력 장애(ADHD) 환자가 최근 4년 사이 갑절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중에서는 주로 아동·청소년이 많은데, 성인이 돼서도 증상이 남는 경우가 적지 않아 적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ADHD(질병코드 F90.0)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7년 5만3천56명이던 진료인원은 2021년 10만2천322명으로 92.9% 늘었다. 진료인원 증가는 여성(182.8%)이 남성(70.4%)보다 가팔랐다.

 2021년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보면 10대가 41.3%로 가장 많았고, 9세 이하가 23.8%, 20대가 21.6%로 뒤를 이었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으로 봐도 10대가 91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 연령대 100명 중 1명 가까이 ADHD를 의심해 병원을 찾은 셈이다. 9세 이하는 648명으로 그 다음이었고, 20대 324명, 30대 137명 순이었다.

 남성은 특히 저연령대에서 환자가 많았는데, 10만명당 진료인원은 9세 이하의 경우 남아가 여아의 3.8배(남성 1천13명·여성 264명)에 달했고 10대는 이런 배율이 3.2배(남성 1천378명·여성 426명)였다.

 여성 환자 중에서는 20대가 32.7%(10대 31.6%, 9세 이하 16.1%)로 가장 많아, 10대가 45.3%로 최다인 남성(9세 이하 27.0%, 20대 17.0%)과 대조됐다.

 ADHD의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21년 870억원으로 2017년(491억원)보다 129.5% 늘었다. 1인당 진료비는 2017년 71만4천원에서 2021년 85만원으로 19.0% 증가했다.

"ADHD 아동 60%는 성인돼도 증상"…환자 4년새 배 가까이 늘었다 - 2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의 안재은(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ADHD는 통상 초등학교 입학 후 진단돼 수년간 치료적 개입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며 "초등학교 저학년 때 증상을 보여도 지켜보다가 고학년이 돼 학업이나 또래 관계에서 어려움을 보이자 진료를 시작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로도 불리는 ADHD는 집중의 어려움과 충동성을 특징으로 해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는 신경발달질환이다.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뇌의 집중과 충동을 조절하는 영역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병 과정에서는 다양한 유전 및 환경적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증상은 과잉행동, 충동성, 주의력 결핍이며, 부수적인 증상으로는 감정 조절의 어려움, 대인 관계의 어려움, 학습 및 수행 능력의 저하 등이 있다.

 공단은 "ADHD가 있는 아동들이 성인이 돼가면서 증상이 상당히 호전되고 나아진다고 알려졌었지만, 장기적인 추적 연구 결과 60% 이상이 성인이 돼서도 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연구됐다"며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학교 및 직장 생활에서 적응하거나 대인관계를 맺는데 어려움을 겪고 건강 관리와 재정관리에서 힘들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ADHD 아동 60%는 성인돼도 증상"…환자 4년새 배 가까이 늘었다 - 3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與 "생명관련 필수의료수가 대폭인상·민간도 공공수가 적용"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이 응급의학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 필수의료 분야 기피 현상을 해결하고자 생명과 관련된 필수의료 행위에 대한 수가를 대폭 인상하고, 민간 의료기관이라도 필수 의료를 수행하면 공공정책 수가를 적용하는 내용을 담은 필수의료육성법 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필수의료 분야에서 의료사고 발생 시 의료인에 대한 민·형사상 부담을 완화하는 내용을 담은 의료법·형사처벌특례법 재·개정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국민의힘 '지역필수의료 혁신 태스크포스' 위원장인 유의동 정책위의장은 12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TF의 지난 2개월여간 논의 결과를 설명하며 이같이 발표했다.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싸고 정부와 대한의사협회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의사단체가 요구하는 주요 보완책 등을 의대정원 확대와 함께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힘으로써 의료계 달래기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유 정책위의장은 이날 지역필수 의료제도 개선을 위해 TF가 ▲ 지역 간 의료불균형 문제 해소 방안 ▲ 필수의료인력 육성 방안 ▲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근무하는 의료 인력 지원 방안 등 세 가지 방안을 마련했다며 "논의 결과를 정부에 전달해 정부가 추진하는 지역 필수 의료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