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7일 조간)

▲ 경향신문 = 민주당, 도 넘은 강성 지지층 행태 제어 못하면 희망 없다

판사 출신 집권당 대표가 헌법재판관을 모독·겁박하다니

육아휴직도 절반이 못 쓰는데, 여당은 황당한 저출생 대책만

▲ 국민일보 = 저출산 문제, 돈풀기보다 통합적 정책 설계로 풀어가야

▲ 서울신문 = 文정부 방송 길들이기 실체 드러낸 한상혁 영장

TK 신공항·광주 군공항 예타 면제, 안 될 말이다

野 주말 장외투쟁, 진정 '국익' 내세울 수 있나

▲ 세계일보 = 정치혐오 정당 현수막 '홍수', 여야 법개정 서둘러라

"정부보조금 안 받겠다" 새로고침 노협 차별화 행보 의미있다

헌재 "위법" 판단에도 위장탈당 민형배 복당 외치는 민주당

▲ 아시아투데이 = 국가안보 총체적 비상, 종북 세력 소탕해야

▲ 조선일보 = 文이 해체하려던 4대강 보, 가뭄 극복 도움 주고 있다

野 줄 잇는 포퓰리즘 입법, 국민에 수십조원 청구서

극렬 지지층에 장악된 黨, 그 黨에 장악된 국회

▲ 중앙일보 = 담보 없는 신용대출 연체 사상 최고…시급한 저축은행 관리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말을 믿기 어려운 이유들

▲ 한겨레 = 북 '핵 실전 능력' 과시, 출구 없는 군비 경쟁의 위험

직장인 절반 육아휴직 눈치보는데 아이 낳겠나

주요 당직 '친윤 도배' 여당, 빈말 된 '연포탕' 약속

▲ 한국일보 = '권도형, 한국 아닌 미국 송환하라'는 여론이 말하는 것

'검수완박' 결정, 아전인수 정쟁 말고 제도 보완 나서야

핵어뢰까지 과시한 北…국방 외교 총력 대응 서둘러라

▲ 디지털타임스 = 사드 정상배치 훼방 놓는 환경단체 트집 더는 용납 안 돼

쿠폰 풀고 세일하는 재탕 대책으론 내수 회복 어렵다

▲ 매일경제 = 국민 4명 중 3명 국회 불신, 강성 지지층에만 기대는 정치 탓

포괄임금제 악용 막아야 하지만 폐지하면 산업 현장 혼란 클 것

생성형 AI서 특허 경쟁력 떨어지는 韓, 이러다 지식 속국 될라

▲ 브릿지경제 = 양곡관리법 거부권 행사에 더 관심 쏠리는 이유

▲ 서울경제 = TK·광주 공항 주고받는 여야, 포퓰리즘 협력만 할 건가

가계 부채·부동산 PF 연쇄 부실 없도록 선제적으로 점검해야

출생아 중 첫째아 비중 최고…국가 인구 전략 다시 짜라

▲ 이데일리 = MZ노조의 정부 보조금 거절, 재정 독립 새 바람 되길

꼬리무는 꼼수입법 폭주…巨野, 의회민주주의 짓밟나

▲ 이투데이 = 여야가 원하는 두 공항, '예타'부터 받아야

▲ 전자신문 = 정보보호 현황 제대로 파악해야

반도체 명운 걸린 4월 한미정상회담

▲ 한국경제 = 기득권·특권 포기 없이는 선거제 개편 성공 못할 것

정부 '2개월 신속 예타'…규제혁파, 국회 안 거쳐도 되는 것 많다

LG엔솔, 북미 최대 공장…'배터리 삼국지' 초격차 발판으로

▲ 대한경제 = 권도형 체포에도 송환 하세월, 가상자산 투자자보호 입법 서둘러라

건설업 위기, 수익성 있는 프로젝트 선별력으로 극복해야

▲ 파이낸셜뉴스 = 전기·가스요금 인상 불가피하나 경영개혁 필수다

소프트파워 적자 수렁, 생태계 혁신으로 돌파해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 혈액 속 지질과 관련 입증…치료법 개발 도움"
경북대는 수의학과 진희경·의학과 배재성 교수팀이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확장이 혈액 인자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S1P는 혈액 속 지질로,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대 연구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했다. 같은 결과가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 확인됐다.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낮았고, 수치가 낮을수록 후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고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하면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하고 후각 행동이 개선됐고,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이 S1P 감소 때문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 교수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