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붕년 서울의대 교수, 아시아 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신임회장

 김붕년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가 아시아 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ASCAPAP) 신임 회장으로 선출됐다고 서울대병원이 8일 밝혔다.

 김 교수는 지난달 25∼28일 일본 교토에서 열린 '아시아 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023'에서 신임 회장과 2025년 서울에서 열릴 학회 조직위원장직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2025년 5월까지 2년이다.

 아시아 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는 아시아 영유아·소아·청소년의 정신건강을 향상하고 발달장애·정신장애 등에 관한 연구 발전과 교류 증진을 위해 1996년 설립됐다.

 김 교수는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분과장, 보건복지부 발달장애 중앙지원단장을 맡고 있으며, 서울시 소아청소년광역정신건강센터, 서울시교육청 학생정신건강증진사업단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김 교수는 "중국, 대만, 일본, 인도, 호주 등과 자폐증, ADHD, 틱, 뚜렛장애 연구 교류 사업에 힘쓰겠다"며 "특히 소아청소년 임상연구에 IT 기반 AI 기술을 도입해 디지털 진단 및 치료제를 적극 개발·활용할 수 있도록 아시아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독감은 왜 노인에게 더 치명적일까…"ApoD 단백질 증가 때문"
노인층이 독감(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질병 발생과 사망 위험이 크게 높아지는 것은 노화와 함께 폐에서 증가하는 아포리포단백D(ApoD)라는 단백질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농업대와 중국과학원 미생물연구소, 영국 노팅엄대와 에든버러대 공동 연구팀은 10일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65세 이상 노인과 고령 생쥐의 혈액 분석과 A형 독감 바이러스(IAV) 감염 실험을 통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노인과 고령 생쥐 혈청에서 모두 젊은 층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ApoD가 검출됐고, ApoD의 과도한 생성은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저항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며 이 발견을 노인층을 독감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은 고령 인구에서 젊은 층보다 훨씬 더 높은 질병 발생과 사망률을 유발하지만, 이런 중증 감염에 노화 과정이 어떻게 관여하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논문 공동 저자인 영국 노팅엄대 킨차우 창 교수는 "노화는 독감 관련 사망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빠른 고령화 속에 보건과 경제에 큰 문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며 "독감이 노인 환자들에게 더 치명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