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먹는 염증성 장 질환 치료제로 키토산·빌리루빈 활용

생쥐모델서 망가진 장벽 복원…면역세포·장내 미생물 정상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전상용·조병관 교수 연구팀은 경구 투여 시 염증성 장에서 과도하게 활성화된 대식세포를 없앨 수 있는 키토산·빌리루빈 나노입자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대식세포는 세포 찌꺼기·이물질·미생물·암세포 등을 집어삼켜 분해하는 백혈구의 한 유형으로, 인체 면역을 담당하지만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등 이상이 생기면 질병을 불러올 수 있다.

 헤모글로빈이 분해될 때 나오는 빌리루빈은 항염증성 효과가 탁월해 약물로 개발하려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지만, 물에 잘 녹지 않는 특성 때문에 임상 단계에서 직접적인 활용이 어렵다.

 연구팀은 빌리루빈을 체내, 특히 경구투여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점막부착성과 수용성 성질을 동시에 지니는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LMWC)과 결합해 키토산·빌리루빈 나노입자(LMWC-BRNPs)를 합성했다.

 생쥐 모델 실험 결과 키토산·빌리루빈 나노입자는 기존 염증성 장 질환 치료제로 사용되는 비스테로이드 계열 항염증(NSAID) 약물 가운데 하나인 아미노살리실리산(5-ASA) 보다 탁월한 장 기 능 정상화 효과를 보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기존 경구용 치료제보다 점막 부착성이 강하고, 망가진 장내 면역 항상성을 되돌리는 효능도 보였다.

 장내 흡수 시 염증성 박테리아 중 하나인 튜리시박터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 가지 핵심 유산균인 서터렐라·오실로스피라·락토바실루스 수를 유지하는 효능도 확인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