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중환자 처방약 12개 중 9개는 '허가 외 약품'"

환자 99.6%가 '허가 외' 처방…"전문의에 자율권 인정하고 소아 임상데이터 확보해야"

 대학병원에 입원 중인 소아 중환자 10명 중 9명 이상이 '허가 외 의약품'(오프라벨·Off label)으로 치료받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대약대·가천대약대·서울대의대 공동 연구팀은 2019년 7월부터 1년 동안 서울대병원 소아중환자실(PICU)에서 24시간 이상 입원 치료를 받은 소아 환자 502명(평균 나이 1.7세)에게 사용된 총 6천183개의 처방 약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약학 분야 국제학술지(Saudi pharmaceutical journal) 최근호에 발표됐다.

 오프라벨은 규제당국으로부터 허가받은 의약품이지만, 적응증과 연령, 용량 중 어느 하나라도 허가사항에 기재돼 있지 않은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말한다. 허가 과정에서 별도의 임상시험이 없었던 소아, 임산부, 노인 환자와 희귀질환자, 암 환자 등에게 주로 사용된다.

 국내 소아 중환자에게 처방되는 대부분의 의약품이 별도의 임상 지침 없이 의료진의 개별적인 판단에 따라 성인 적응증 및 용량을 기준으로 처방되고 있는 셈이다.

 허가 외 사용은 진정, 소화기, 항균, 심혈관계 관련 약물 순으로 많았으며, 항목별로는 용량(67.8%), 연령(50.1%), 적응증(31.5%) 순으로 빈도가 높았다.

 연구 기간 허가 외 사용에 따른 약물 이상 반응은 5.4%(27명)에서 67건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허가 외 약물 사용으로 인한 중등도 및 중증 이상 반응 발현율이 69.0%로 대조군(허가약물)의 38.9%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추산했다. 약물 이상 반응 발생에는 진료과(소아과), 전체 투여약물수, 소아중환자실 입원일수 등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분석됐다.

허가 외 약물 사용 및 약물 부작용의 중증도 [논문 발췌]

 전문가들은 소아 환자에 대한 허가 외 의약품 처방과 관련, 안전한 치료를 추구할 수 있는 방안을 하루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가천대 약대 최경희 교수는 "의약품 허가를 위한 임상시험 결과가 부족한 소아 환자의 경우 허가 외 약물 사용은 배제할 수 없는 선택이고 신약의 개발이 빨라질수록 소아에 대한 허가 외 약물 사용은 증가할 수밖에 없다"면서 "다양한 실제 임상자료를 통해 약물의 안전성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임상 증거를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예컨대 투약하는 약물 수나 아이의 상태 등 위험 요인에 따른 이상 반응 발생에 대한 모니터링을 좀 더 집중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임상시험에 대한 윤리적 범주를 지키면서 소아 환자에게 안전한 치료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의료계에서는 규제 당국이 일부 의약품의 허가 외 투약이 불가피한 점을 인정하고 급여 체계 개선에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소아 환자의 경우 법적으로 허가 외 처방 자체가 안 돼 이에 따른 치료비(비보험) 전액을 고스란히 부모가 부담해야 하는 게 현실이다. 예외적으로 심평원 사전승인제도가 있지만 허가 외 처방에 대한 사전 승인 이후에도 용량, 용법 등의 차이가 발생할 때마다 일일이 승인받아야 해 효율성이 떨어진다.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박준동 교수는 "소아는 성장 발달이 아직 끝나지 않은 단계이기 때문에 의약품을 개발할 때 별도의 안전성, 유효성을 확인해야 하지만 제약사들이 별도 임상시험에 들어가는 막대한 개발 비용 등을 이유로 이를 회피하면서 '안전성 확인이 안 됐다'는 문구가 들어간 약을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별다른 치료법이 없는 아이들에 대해서는 전문의의 허가 외 처방 자율권을 폭넓게 인정하고 추후 임상 데이터를 확립하는 방향으로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