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10대 위험' 항생제내성균 차단위해 정부 통합시스템 추진

 항생제 내성균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정부가 항생제 통합정보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부처 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 6일 오송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비인체 분야 항생제 내성 워크숍에서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식약처 등 관련 부처가 모여 식품 생산과 환경 등 비인체 분야에 의한 항생제 내성 확산 방지를 위한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항생제 내성을 갖는 미생물에 사람이나 동물이 감염되면 기존 항생제가 효과를 보이지 않아 치료가 어려워진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항생제 내성을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10가지 위험으로 경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항생제 통합정보시스템을 개발해 분야별 항생제 판매량과 항생제 내성률 조사 등의 관련 정보를 부처 간에 공유할 계획이라고 식약처는 설명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파견 연구자들이 사업 결과와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했으며, '2022년도 국가항생제 사용 및 내성 모니터링 보고서' 결과를 공유했다.

 유엔환경계획(UNEP) 항생제 내성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약 500만명이 항생제 내성균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약 30년 후에는 교통사고나 암보다 항생제 내성균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더 많을 것으로 예측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머스크 "수술 로봇, 5년내 최고 외과의사 능가할 것"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수술용 로봇 기술이 빠르게 발달하면서 몇 년 안에 인간 의사를 뛰어넘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28일(현지시간) 머스크의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따르면 그는 전날 올린 글에서 "로봇이 몇 년 내에 우수한 인간 외과 의사들을 뛰어넘고, 5년 이내에 최고의 인간 외과의를 능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자신이 설립해 운영 중인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를 언급하며 "뉴럴링크는 두뇌-컴퓨터 전극 삽입에 로봇을 이용해야 했다. 인간이 (이 수술에) 요구되는 속도와 정밀함을 달성하기는 불가능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머스크는 한 수술용 로봇 제품이 100여차례의 실제 수술 시험에서 의사들이 예상한 것보다 더 나은 성과를 냈다는 엑스 이용자의 게시물을 공유하며 이런 글을 올렸다. 머스크의 이런 예측에 미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 마이크 리(유타)는 "인간에게 승리가 될 것 같다"며 환영했다. 뉴럴링크 홈페이지에는 수술용 로봇에 관해 "우리의 이식에 쓰이는 실은 아주 가늘어서 인간의 손으로 삽입될 수 없다. 우리의 수술용 로봇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이 실을 필요한 곳에 정확히 삽입하도록 설계됐다"고 설명돼 있다. 전날 머스크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