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노 "심정지 예측의료기기, 임상 현장서 유효성 입증"

 의료 인공지능(AI) 개발 기업 뷰노는 AI 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인 '뷰노메드 딥카스'가 임상 현장의 실사용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에서 유효성을 입증했다고 13일 밝혔다.

 뷰노는 이런 내용의 임상 연구 논문이 중환자 의학 분야 글로벌 학술지인 '크리티컬 케어'(Critical Care)에 게재됐다고 전했다.

 뷰노메드 딥카스는 일반 병동에서 필수적으로 측정해 EMR(전자의무기록)에 입력하는 혈압, 맥박, 호흡, 체온을 분석해 환자의 심정지 발생 위험도를 점수로 제공하는 AI 의료기기다. 이 기기를 사용하면 모든 환자를 상시로 감시하기 어려운 일반 병동에서 의료진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뷰노에 따르면 의료기관 4곳에서 3개월 동안 총 5만5천8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 고위험 환자 예측 시스템과 뷰노메드 딥카스의 병원 내 심정지, 예기치 않은 중환자실 전실 예측 정확도, 오경보율 등 성능을 비교·분석했다.

 이예하 뷰노 대표는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고 난이도가 높은 최초의 다기관 전향적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뷰노메드 딥카스의 일관된 예측 성능과 범용성을 입증했다는 데 큰 의의를 갖는다"며 "추가적인 전향적 연구를 수행해 해당 제품에 대한 임상 현장에서의 신뢰도를 계속 높이는 동시에, 필수 의료로서 더 많은 의료 현장에 도입돼 환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소아청소년병원協 "독감 후 횡문근융해증 증가 추세…주의 당부"
학령기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이어지는 가운데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가 이들을 중심으로 독감 관련 횡문근융해증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협회는 최근 "그동안 거의 발생하지 않았던 소아 B형 독감과 관련한 횡문근융해증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라며 이같이 밝혔다. 협회는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까지 회원 병원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횡문근융해증으로 인한 근육통, 보행장애, 짙은 색의 소변 등 임상 증상 건수가 78건에 이르렀다"며 "대부분 5∼12세 사이였고, 횡문근융해증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64%는 입원 치료가 필요한 상태였다"고 설명했다. 횡문근융해증은 팔과 다리 등 움직임이 있는 부위의 골격근인 횡문근이 고체에서 액체로 융해(融解)되는 상태를 말한다. 근세포 내 물질들이 혈액으로 유출되면서 갑작스러운 근육통이 나타나고, 소변이 검붉은색(콜라색)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통상 횡문근융해증은 강도 높은 신체활동 이후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소아에게서는 독감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자칫 급성 신장 손상과 같은 합병증으로 악화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 최용재 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