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바이러스제 몰누피라비르, 코로나바이러스 특정변이 유발"

英 연구팀 "새 변이 확산시킬 가능성…약물 이점·위험 평가 때 고려해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대응에 큰 역할을 한 항바이러스제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가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에 특정 돌연변이를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와 케임브리지대 등 공동 연구팀은 1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세계 각국 코로나바이러스의 염기서열 데이터베이스를 분석, 몰누피라비르 치료와 코로나19 바이러스 돌연변이 패턴 간의 연관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몰누피라비르 사용으로 인한 돌연변이가 이 약에 대한 내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이 결과가 몰누피라비르가 코로나바이러스 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조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몰누피라비르(판매명 : 라게브리오)는 미국 제약사 머크앤드컴퍼니(MSD)가 개발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로 경증 또는 중등도 증세 감염자나 중증으로 악화할 위험이 큰 고위험군 치료에 널리 사용된다.

 몰누피라비르는 바이러스 복제 과정에서 리보핵산(RNA) 대신 삽입돼 바이러스 게놈에 돌연변이를 유도, 바이러스를 죽이거나 증식을 하지 못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살아남으면 관련 돌연변이가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1천500만개 이상의 코로나19 바이러스 게놈이 포함된 세계 코로나바이러스 염기서열 DB를 분석하고 이를 몰누피라비르 치료와 관련이 있는 특정 돌연변이 패턴과 비교했다.

 그 결과 세계 각국에서 몰누피라비르가 도입된 지난해 이후 코로나바이러스에서 몰누피라비르 관련 특정 돌연변이 패턴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정 돌연변이 패턴이 확인된 국가 중 상당수는 영국, 호주, 미국, 일본 등 몰누피라비르가 광범위하게 사용된 나라들이었고, 캐나다처럼 몰누피라비르 사용을 승인하지 않은 국가에서는 관련 돌연변이 패턴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특정 돌연변이 패턴은 몰누피라비르 사용률이 높은 국가, 특히 이 약이 주로 사용된 고령층 등 고위험군에 많았고, 영국의 경우 특정 돌연변이 패턴의 최소 30%가 몰누피라비르 사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또 사람 간 전파 가능성을 암시하는 돌연변이군도 발견했지만 이 돌연변이군과 관련성이 확인된 우려 변이(variants of concern)는 없었다고 밝혔다.

 논문 제1 저자 겸 교신저자인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테오 샌더슨 박사는 "코로나19는 여전히 인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이 연구는 몰누피라비르가 새 돌연변이를 일으켜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공동 교신저자인 케임브리지대 크리스토퍼 루이스 교수는 "이 연구는 몰누피라비르 치료 중 바이러스가 완전히 죽지 않으면 관련 돌연변이가 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는 몰누피라비르나 유사 약물의 이점·위험 평가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라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Theo Sanderson et al., 'A molnupiravir-associated mutational signature in global SARS-CoV-2 genomes' ,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3-06649-6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대란 일주일]① "고령화로 의사수요 급증" vs "인구줄어 의사 남아돌아"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을 둘러싸고 정부와 의사들 사이의 간극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는 것은 논의의 근본 전제인 의사 부족 여부에 대한 시각이 '극과 극'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정부는 27년간 의대 정원이 늘지 않는 상황과 급속한 고령화를 이유로 의사 수가 부족하다고 보지만, 의사들은 인구 감소 상황에서의 의대 증원이 의사인력의 공급 과잉을 불러올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의사 수, 즉 의대 증원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의사가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해야 하는지도 양측의 시각이 갈린다. 정부는 의사뿐 아니라 사회 각계의 의견을 들은 뒤 정부가 결정할 일이라는 생각이지만, 의사들은 증원 규모까지 정부와 의사들이 함께 정해야 한다는 시각을 갖고 있다. 의사들은 의사 수가 늘어나면 건강보험 재정이 파탄 날 것이라고 경고한다. 이에 대해 정부는 의사 수 부족이야말로 진료비 상승의 주범인 만큼 이번에는 의대 정원을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 "고령화에 의사 수요 늘어" vs "저출산에 의사 남아돌아" '저출산 고령화'라는 같은 현상을 두고 정부와 의사들은 의대 증원이 필요한지에 대해 정반대의 진단을 내리고 있다. 정부는 고령화에 의료수요가 폭증하고 있다는 것을 큰 폭의 의대 증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세균 침입하면 항생제 방출…임플란트용 코팅 소재 개발
국내 연구진이 세균 침입에 반응해 항생제를 방출하는 치과 치료 소재를 개발했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 차형준 교수, 화학공학과 최현선 박사 연구팀이 경북대 의생명융합공학과 조윤기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홍합 접착 단백질을 기반으로 한 임플란트용 코팅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임플란트는 상한 치아를 빼낸 뒤 턱뼈에 나사를 심고 치아를 대체할 보철물을 끼우는 치과 치료법이다. 임플란트는 시술 부위가 세균에 감염되면 고정력이 약해지고 각종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항생제를 포함한 임플란트 코팅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연구팀은 홍합 접착 단백질 아미노산 중 하나인 도파(DOPA)에 주목했다. 홍합의 강력한 접착력 핵심인 도파는 금속 이온과 강력한 결합을 형성하는 아미노산으로 산성도가 낮으면 금속 이온과 결합력이 약해지는 특징이 있다. 연구팀은 몸속에 세균이 침입하면 그 주변 산성도가 낮아지는 점에 착안해 새로운 임플란트용 코팅 소재를 개발했다. 이 소재는 일반적 환경에서는 내부에 항생제를 품고 있다가 세균에 감염돼 주변이 산성화하면 8시간 안에 항